-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16/12/16 02:06:30
Name   하니n세이버
Subject   민주주의의 한 본보기
http://www.zeit.de/politik/ausland/2016-12/suedkorea-park-geun-hye-amtsenthebung-5vor8




민주주의의 한 본보기

칼럼니스트 Matiass Nass

한국의 대통령 박근혜는 그의 임기를 마치게 될 듯 하다.
서울의 용감하고 정열적인 시위대로부터 유럽인과 미국인들은 배울 것이 있다.

2016년 12월 14일 8시 19분 Zeit지 온라인.

만약 시민이 불의와 무능 앞에 섰을 때라면 그것은 신성하다고 보여진다.만약 민주주의가 중대한 위기에서 무장된다면 말이다.한국은 요 며칠간 하나의 예를 보여주었다.어떻게 시민과 정당이 평화적으로 책임감 있고 유효하게 국가 정상에게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를.

12월 3일 서울 한복판에서 170만명의 사람들이 대통령 박근혜의 퇴진을 위한 시위가 있었다.그것은 한국 역사에서 가장 큰 규모의 집회였다.그 다음 금요일에는 의회에서 정족수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대통령의 탄핵을 결정했다.그녀는 직권남용과 헌법의 위반 그리고 매수죄의 혐의를 받고 있다.
지금 이런 의회의 결정을 헌법재판소에서 심사 중이다.180일의 시간이 주어진다.만약 재판관들이 탄핵을 인용할 경우 60일 이내에 대선을 치뤄야 한다.

박 대통령은 TV 담화에서 이런 자신이 야기한 "국가적 혼돈"에 대해 유감을 표한 바 있다.그렇지만 그녀는 사퇴하는 것을 원하진 않았다.단지 헌재의 판결을 고대할 뿐이다.이런 탄핵으로써의 결말이나 혹은 새로운 대선 때까지 그녀의 권한은 황교안 총리가 대행한다.

시민이 이끌었고, 정치인은 따라갔다."

싱가포르에서 베이징까지 이어지는 아시아의 가치를 전하는 그것이 그리 오래된 일은 아니다.민주주의는 서양에서의 수입품으로써 유교사상으로 각인된 아시아 사회에 맞지 않다고 했다.그 사상에서는 공공의 이익이 개인 보다 우선한다고 하며사회적인 의무가 시민의 권리보다 더 중요하다 하였다.

한 한국인이 있었다. 야당의 지도자이며 후에는 대통령이 되는 김대중.그는 이런 통치이념에 대해 항상 격렬하게 이의를 제기했다.군부독재에 대한 그의 싸움은 그의 백만 시민들에게 용기를 불어 넣었다.

그 당시에는 항상 평화적이진 않았다.필자는 서울 시청 근처에서 벌어졌던 시가전이 떠오른다.(80년대 당시 파견 기자였었던듯....)그 때 경찰과 대학생들의 곤봉과 막대기가 서로간에 맞붙었었다.경찰이 쏜 최루탄 안개가 서울에 짙게 깔렸었다.

1987년에야 군부가 군으로 돌아갔다.이일이 있은지 아직 30년도 채 되지 않았다.이 (시위기간) 사이를 연세대 원로교수인 문정인은 한국의 "성숙한 민주주의"라고 칭했다.4주 동안 그와 그의 아내는 이런 시위에 참가했다.서울의 거리는 "아고라"가 되었다고 한다. 직접 시민이 통치하는 광장으로써 말이다."시민이 이끌고 정치인은 따라갑니다."그것은 이 현실을 미화하는 것이리라. 그러나 문 교수는 확고하다."한국은 보여주었습니다. 이런 군중은 지혜롭고 계몽될 수 있지만 그들은 위협적일 수 있습니다."

어쨌든 박근혜는 결국엔 그 군중들 앞에 항복해야만 했다.1979년에 총으로 살해당한 독재자 박정희의 딸로서 많은 한국인에게 수수께끼로 남아있었다.의심스럽게 거리를 두면서 그녀는 청와대, 대통령 자리에서 이 나라를 다스렸다.그녀는 오랜 친구 때문에 추락하게 되었다.대기업으로 부터 엄청 많은 돈을 그녀가 만든 두 재단을 위해 모금하기 위하여그리고 가능한한 개인적인 부를 더 채우기 위하여 그녀는 대통령을 가까이에서 이용했다.

그녀는 사이비종교단체 수장의 딸이며 이른바 대통령의 굿을 관장하였다는 것이 결정적으로 박 대통령의 위신에 금이 가게 했다.또 다른 "청와대" 거주자의 부정부패는 한국인이 알고 있는 바이다.이는 우스운 일인데, 그녀는 그녀의 당에서 조차도 결국 감당할 수 없다고 여겨진다는 것이다.  평화적인 시민저항은 승리했다. 혹은 문정인 교수의 표현에 따르자면 "한국 시민의 성숙함"은 승리했다.촛불은 프랑크푸르트 알게마이네 차이퉁의 표현을 빌리자면 "한국인의 거대한 빛의 축제"로  6주 연속 중앙에 나왔다. 그들은 구호를 외쳤고 노래를 불렀으며 그리고 뒤에서는 성실하게 쓰레기를 모았다.

민주주의와 아시아, 이 둘은 서로 맞지 않는 것인가?오히려 지금은 이렇게 보인다. 아메리카와 유럽인들은 한국인으로부터 배울 수 있다고,어떻게 민주주의를 용기와 열정을 가지고 지켜내는지.

한국인을 주의하라.반도의 북쪽은 완전무장하고 있으며 즉 핵으로 군비를 확장한 전제 폭정이 존재하며한국인들은 그 그늘 아래에 있음에도 그들은 부정부패와 정치와 경제 권력의 그물망 앞에서 저항을 펼치고 있다.이러한 사실은 그들의 싸움이 찬양할 가치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번역 : http://mlbpark.donga.com/mlbpark/b.php?m=search&p=1&b=bullpen2&id=6778393&select=sct&query=%EB%8F%85%EC%9D%BC+%EC%B9%BC%EB%9F%BC&user=&reply=



0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8169 사회뛰는 배달비에 세금까지 떠안아…두 번 우는 자영업자 7 syzygii 22/02/15 2369 1
2058 경제"구속 피한건 독" 우병우는 왜 우병우를 쏘았나 NF140416 17/02/23 2369 0
1808 정치바른정당, '선거연령 18세 하향' 당론 확정 우웩 17/02/01 2369 0
3346 사회부산 다대포서 인터넷생방송 도중 BJ가 변사체 발견 우웩 17/06/01 2369 0
8722 문화/예술[외신] 영화 아카데미 회장 존 베일리는 성희롱 조사를 받고 있다. 2 구밀복검 18/03/19 2369 0
10002 경제"갑자기 나가라니.." 마트 폐점에 날벼락 1 알겠슘돠 18/05/09 2369 0
33299 의료/건강동해에 후쿠시마 해수 방출…수산물 괜찮나요? “사실상 못 먹는 것” 11 야얌 23/02/03 2369 0
7701 스포츠스키협회, 결단식 참석한 선수에게 '올림픽 못 간다' 통보 1 알겠슘돠 18/01/26 2369 0
8982 정치배현진·최재성·송기호·박종진..송파을 재보궐 가상 대결 결과는? 4 CONTAXS2 18/03/31 2369 0
4895 의료/건강초가을 꽃가루농도 상승..알레르기 비염환자 최고치(뉴시스) 2 메리메리 17/08/29 2369 0
8481 정치박수현,' 내연녀 부당 공천' 의혹 반박.."동지가 비수 꽂았다" 5 맥주만땅 18/03/08 2369 0
30757 정치尹대통령, ‘내부총질’ 문자 질문에 ‘묵묵부답’ 7 퓨질리어 22/08/08 2369 1
1318 정치“박연차, 반기문에 23만 달러 줬다” 10 하니n세이버 16/12/24 2369 0
9767 정치"北, 아베 정상회담 요청에 '일절 응하지 말라' 지시" 2 Credit 18/04/28 2369 0
5941 스포츠강제 연기된 '모두가 알고 있는' 한화 감독 발표 3 알겠슘돠 17/10/23 2369 0
9781 정치'판문점 선언' 국회비준 추진.. 한국당 "안된다" 1 Credit 18/04/30 2369 0
3646 정치주광덕 : 안경환 실명 판결문 유출 경위 조사해야 6 사악군 17/06/22 2369 0
28744 정치국힘 '지선' 내홍…이준석 "김재원,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려 해" 6 Picard 22/03/24 2369 1
4425 스포츠만원관중 '0' 삼성, 성적-흥행 다 놓쳤다 알겠슘돠 17/08/08 2369 0
844 기타'불경기 맞나?' 초고가 프리미엄 제품 승승장구 NF140416 16/11/22 2369 0
8012 사회"차비 좀 빌려주세요"..홍대입구역, 때아닌 프랑스 교포 주의보 8 이울 18/02/09 2369 0
33366 방송/연예마블 비상...'앤트맨3', 시사회서 호불호 심하게 갈렸다 20 swear 23/02/08 2369 0
7515 경제빗썸, '내돈달라' 고객요청 일주일째 '기다려달라' 5 grey 18/01/17 2369 0
9308 경제이주열 한은 총재 "고용 부진, 최저임금 인상 때문 아냐" 2 알겠슘돠 18/04/12 2369 0
7006 사회신생아에 '날벌레 수액' 투여… 근무 중인 간호사 결핵 판정… 4 모선 17/12/18 2369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