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머가 아닌 펌글, 영상 등 가볍게 볼 수 있는 글들도 게시가 가능합니다.
- 여러 회원들이 함께 사용하기 위해 각 회원당 하루 5개로 횟수제한이 있습니다.
- 특정인 비방성 자료는 삼가주십시오.
Date | 18/07/24 22:55:22 |
Name | 월화수목김사왈아 |
Link #1 | http://m.egloos.zum.com/271828/v/1165341 |
Subject | 인터넷의 법칙 |
http://m.egloos.zum.com/271828/v/1165341 RationalWiki.org에서 정리한 인터넷의 법칙(링크)이라고 한다. 사이비 과학의 지지자들과 수차례 논쟁을 벌인 끝에 정리된 법칙들이라는데 후... 먼저 그들이 겪었을 고통에 묵념을.. 단스의 법칙: 논쟁 중 승리를 선언하는 쪽이 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디마이어의 법칙: 내용의 대부분이 인용문인 글에는 신경을 쓰지 않는 편이 좋다. 다나 울만의 법칙: 과학/의학토론에서 다나 울만[대체의학 지지자]을 언급하는 쪽은 그 즉시 토론에서 패배하고 웃음거리가 된다. 고드윈의 법칙: 어떤 토론이든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면 상대방을 나치와 동일시하는 부분이 등장한다. 헤이그의 법칙: 홈페이지 주인의 광기는 홈페이지의 디자인이 기괴한 정도에 비례한다. 스코피의 법칙: 논쟁 중 상기 웹사이트를 언급하면 인간의 자격을 박탈당한다. 코헨의 법칙: 누구든 "누구든 ~와 같은 결론을 해결책으로 제시하면 패배한 것이다."와 같은 결론을 해결책으로 제시하면 패배한 것이다. 포머의 법칙: 사람의 입장은 인터넷을 통해 바뀔 수 있다. 하지만 이 변화는 항상 "입장 없음"에서 "잘못된 입장"으로 변한다. 쉐이커의 법칙: 특정 인터넷 커뮤니티를 떠나겠다고 선언한 사람은 절대로 그 인터넷 커뮤니티를 떠나지 않는다. 스킷의 법칙: 누군가의 오류를 지적하는 포스트 역시 오류를 범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미친놈 정리: 평범한 사람+익명+관심=완벽히 미친놈 Gray: 미친 정도를 나타내는 변수의 기본 단위. Gene Ray가 운영하는 사이트와 디자인이 비슷할 수록 최대치인 1에 가까워진다(아래 그림 참조). RationalWiki의 인터넷 법칙을 보다 보니 한국에서 인터넷을 하며 느꼈던 점들이 떠올라서 아래와 같이 정리해봤다. DFTT 유도식: 트롤에게 먹이를 주지 말라고 간청하는 사람들 중에 실제로 트롤에게 먹이를 주지 않을 인내력을 가진 사람은 거의 없다. 병림픽 현상: 마지막 덧글을 차지한 사람이 이긴 것이라는 단 한가지 원칙을 가진 병신사람들의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는 현상. ▲병림픽 제1법칙: 병림픽의 참가자들은 절대로 패배를 인정하지 않는다. ▲병림픽 제2법칙: 병림픽이 개최되는 기간은 참가자들의 지성에 반비례한다. ▲병림픽 제3법칙: 참가자 A가 의견을 남기면 참가자 B도 의견을 남긴다. 네이버ㅡ한의원 정리: 네이버에서 서양의학 정보를 검색한 자는 본인의 의도와 상관없이 최소 하나의 한의원 홍보 문구에 노출된다. 토렌트ㅡ리뷰 정리: 영화가 영화관에서 내려간 지 한참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그 영화 리뷰가 계속 올라오는 날에는 그 영화의 토렌트가 풀려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 DFTT가 뭔지 궁금해서 검색해보니 재미있는 글이 있어서 가져왔습니다.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