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9/09/17 18:15:34수정됨
Name   메존일각
Subject   거북선 기록 간략 정리
* 탐라에 거북선에 관한 질의가 있어 제가 예전에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조사하였던 내용을 일부 써봅니다.
보고서는 아니므로 몇 가지만 대략적으로 정리하였습니다.

* 제가 딱히 전문가도 아니고 새로울 것은 없는 자료지만, 다른 곳으로 퍼가는 행위는 금합니다.


[0. 판옥선]

- 명종 연간에 남도포 만호(정4품) 정걸에 의해 완성된 배입니다.
- 당시 기본 군선이었기 때문에 그냥 '전선(戰船)'으로 불렸습니다.
- 갑판 위에 상갑판을 짜올린 다층식 군선으로 당시 획기적인 구조였습니다.



- 상기의 그림은 <각선도본(各船圖本)>에 나오는 판옥선도입니다. <각선도본>은 1800년경 간행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현재의 판옥선 형태는 모두 이 그림을 바탕으로 합니다. 하지만 이 그림 역시 최초의 판옥선으로부터 250년 정도 흐른 후의 것이므로 최초의 형태와 같은지는 그 누구도 장담하지 못합니다.

- 주요 부재 용어를 설명한 그림입니다.



[1. 현존하는 거북선 그림]

- 거북선은 판옥선 위에 개판과 용머리를 달아 개조한 돌격선입니다.
- 임란 때 이순신에 의해 사용된 거북선은 기존 거북선을 개량한 것으로 보입니다.
- 개량한 거북선을 창제귀선(創製龜船) 또는 별제귀선(別制龜船)이라 부릅니다.

- <이충무공전서>에 실린 두 장의 거북선 그림입니다. 



- 관련된 이야기는 다음 링크에서. https://new.redtea.kr/?b=3&n=9488



- 덕수이씨 종가에 전하고 있는 거북선도입니다. 이순신의 후손이자 삼도수군통제사까지 지냈던 이언상이 그린 그림이라고 전해집니다.(홍순구 교수) 무시할 수는 당연히 없지만 화법으로 봤을 때 1700년대 중반~1800년대 정도의 그림으로 추정되므로 창제귀선과 어느 정도 유사할지는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 좌측. 안동 출신의 이덕홍이 상소문에 올린 귀갑선도입니다. 임란 당시의 그림이라 귀한 자료로써 참고됩니다만, 이순신의 거북선과의 연관성은 미지수입니다.

- 우측. 정조 연간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삼도수군조련전진도(朝鮮三道水軍操練戰陣圖)> 병풍도입니다. 경상좌우 전라좌우 충청수영의 수군들이 모여 매년 봄가을 훈련을 하였는데, 보통 삼도수군통제영이 있던 통영 부근에서 훈련을 하였고 임금이 지켜보는 가운데 한강에서 훈련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위계에 따라 배의 크기가 다른데 구체적으로 묘화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현존하는 옛 거북선 그림을 대체로 이 정도입니다. 


[2. 거북선의 특징]

- 각종 사료의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한 거북선의 특징입니다.



ⓛ 거북선 크기: 전술한 바처럼 판옥선(板屋船) 크기와 같습니다.

저판장 15.2m (50자), 상장장 20.6m (68자), 전선장 25.5m (84.1자),
선두광 4m (13.1자), 선요광 6.8m (22.6자), 선미광 3.4m (11.2자)
저판두광 2.8m (9.3자), 저판요광 3.4m (11.2자), 저판미광 2.5m (8.2자)
- 출처: 이원식(2007) “1592년 龜船의 主要 置數 推定에 關한 硏究” (박논)

② 용두: 뱃머리에 용두(龍頭)를 두고 아가리를 통해 현자총통 발사. 또 사각(射角) 조정 가능
③ 철첨: 거북 등처럼 만든 귀배판(龜背板)에 철첨(鐵尖:쇠송곳)을 꽂음.
④ 화포 수: 포혈(砲穴)은 좌우 각 현(舷)에 6개, 용두에 1개, 선미(船尾)에 1개로 모두 14문.
⑤ 화포 종류: 천·지·현·황자포 등 각종 총통 장비. 실전에서 대전(大箭: 큰화살) 많이 발사.

이상입니다.



14
  • 선추천 후정독
  • 질의하면 바로 답이 나오는 홍차넷..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18 일상/생각최근 홍차넷의 분위기를 보며 42 메존일각 19/09/27 6970 60
9717 기타조달청이 심사하는 제안입찰 방식에 대한 소고 10 메존일각 19/09/27 3547 0
9677 역사신안선에서 거북선, 그리고 원균까지. 8 메존일각 19/09/18 4744 15
9676 역사거북선 기록 간략 정리 21 메존일각 19/09/17 4899 14
9610 역사외전: 고려 무신정권기 동수국사(史?/事?) 최세보 이야기 메존일각 19/09/01 4115 5
9605 역사"향복문(嚮福門) 이름을 바꿔라!" 고려 무신정권기의 웃픈 에피소드 메존일각 19/09/01 4508 11
9488 역사일반인이 이해하는 이순신의 거북선 형태 2 메존일각 19/07/30 5465 9
9497 문화/예술<동국이상국집>에 묘사된 고려청자 3 메존일각 19/08/01 5966 7
9295 오프모임[수정] 6/13(목) 광주광역시 번개입니다. (수->목) 34 메존일각 19/06/09 5682 5
9271 일상/생각결혼식의 추억 18 메존일각 19/06/02 4772 22
9219 오프모임22일(수, 확정) 저녁 부산 번개 열어봅니다. 39 메존일각 19/05/20 4771 6
9105 역사현대에도 신분제도는 남아있을까? 6 메존일각 19/04/21 4228 10
8681 일상/생각통영 여행에서 알아두면 좋을 꿀팁들. 7 메존일각 18/12/25 3779 17
8563 일상/생각홍차넷엔 안 계실 초보 운전자들께 드리는 말씀 41 메존일각 18/11/26 5734 13
8768 문화/예술지정문화재와 등록문화재의 간단 정리 13 메존일각 19/01/16 7632 8
8519 일상/생각추억의 혼인 서약서 10 메존일각 18/11/14 4008 9
8368 게임내 인생 최고의 게임, LOOM [스포다수] 17 메존일각 18/10/14 5525 6
8330 일상/생각따끈따끈한, 폭풍우를 가로질러 질주한 경험담 29 메존일각 18/10/06 5360 11
8164 오프모임[업데이트] 광주광역시 9.8(토) 번개입니다.(3차 시도) 28 메존일각 18/09/03 5456 9
7971 일상/생각양도소득세를 납부하며 관의 책임전가를 생각하다 24 메존일각 18/07/30 4203 5
7957 일상/생각공무원 7급 = 일반고 전교 1등? 30 메존일각 18/07/27 6946 0
9117 문화/예술문화재로 지정된 전통 고택의 현황과 활용상 문제 22 메존일각 19/04/24 5061 8
7855 문화/예술한산대첩은 (단)학익진일까? 쌍학익진일까? 4 메존일각 18/07/16 7456 2
8048 오프모임광주광역시 이번주 화/수 중 번개 예정 중입니다. 31 메존일각 18/08/13 3572 6
8124 오프모임광주광역시 9.7(금) 번개입니다.(2차 시도) 17 메존일각 18/08/27 3455 4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