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9/04/04 13:06:20수정됨
Name   메아리
Subject   서평 『가나』 – 정용준
  정용준, 1981년생, 2009년 현대문학 「굿나잇 오블로」로 등단, 대표작 「떠떠떠, 떠」 , 「가나」. 이 단편소설집 중에서 가장 인상 깊은 두 작품은 「떠떠떠, 떠」와 「벽」이다.

  「떠떠떠, 떠」는 말더듬이와 간질 발작 환자의 사랑이야기다. 어릴 때부터 말더듬이 심했던 주인공은 그 열등감 속에서 힘겹게 살아간다. 초등학교 시절, 간질 발작으로 쓰러졌던 여자 동창을 놀이 공원에서 동물 탈을 쓴 캐릭터 분장을 하고 만난다. 그 여자애는 팬더, 주인공은 사자다. 주인공은 여전히 말을 못하고 여자애는 가끔 발작을 한다. 발작을 할 때마다 그녀는 탈을 뒤집어쓰고 자신을 보여주지 않는다. 그리고 자신은 전혀 고통스럽지 않다고 그냥 깊은 잠에 빠지는 거라고 말한다. 제발 불쌍한 표정으로 그걸 보고 있지 말아달라고 한다. 둘은 사랑에 빠진다. 그리고 그녀가 발작에 빠지고 주인공이 그걸 보며 괴로워한다. 어떻게 저 표정이 고통스럽지 않단 말인가, 하며 그녀의 고통에 동조한다. 그리고 발작에 빠진 그녀를 향해 말한다. “떠떠떠, 떠, 사, 사라, 사랑해.”

  「벽」은 노숙자들이 납치되어 서해의 외딴 고도 염전에서 강제 노역을 하는 모습을 그린 소설이다. 주인공은 어떤 사람들의 꼬임에 넘어가 염전에 팔린다. 염전의 지배집단은 그들의 한쪽 발목을 잘라 도망가지 못하게 하고 일하는 중에 한 마디 말도 하지 못하게 한다. 그것을 어길 시에는 무자비한 폭력을 가하며 일꾼들을 통제한다. 그런데 원래 일꾼이었다가 반장이 되는 사람들이 있다. 반장5도 그런 사람이다. 지배 집단은 반장 후보들로 하여금 일꾼들을 때려죽이게 하여 공범으로 만들어 그들의 수족으로 부린다. 그리고 그렇게 죽은 시체들을 얼려 벽을 만든다. 하지만 일꾼9는 그런 수작에 넘어가지 않다가 맞아 죽는다. 주인공 21은 그런 9를 때려죽이고 반장이 된다. 그리고 뒤로 들어오는 일꾼들에게 무시무시한 폭력을 가한다.

  아픔을 가진 이들은 쉽게 가까워진다. 그것은 아픔이 연대감을 형성하는 매개가 되기 때문이다. 설령 그것이 같은 종류의 아픔이 아니라 하더라도 아픔은 우리로 하여금 연대를 쉽게 하도록 한다. 왜 그럴까? 아픔은 무엇이길래 우리의 연대를 가능하게 할까? 「벽」에서도 마찬가지의 모습이 보인다. 끌려온 노숙자들은 비록 말은 할 수 없지만 심정적 연대를 형성한다. 그런데 「떠떠떠, 떠」에서는 그 연대가 사랑으로 발전한 반면, 「벽」에서 그 연대는 깨지고 만다. 염전의 지배자는 그 연대를 깨기 위해 두 가지 수단을 사용한다. 하나는 공포이고, 만일 그것에 굴복하지 않는다면 상대적 쾌락을 제공해줌으로써 그 연대를 해체시킨다. 고통은 사람들을 뭉치게 하고 쾌락은 흩어지게 한다.

  아픔은 역설적으로 타인에 대한 이해의 기회를 제공한다. 지금 현재 내가 아픔에 빠져 있다면 꿈도 꾸지 못할 일이지만, 아픔을 겪은 후에 다른 사람의 아픔을 보게 되면 내가 겪은 아픔이 내놓은 길을 따라 그 사람의 아픔을 이해할 기회를 만나게 된다. 타인을 이해하는 경험은 의외로 많은 것을 준다. 그것은 자의식의 단단한 껍질에 균열을 내어 세계로 향하는 문을 열어준다. 자의식이란 것이, 강하면 강할수록 연대에는 부정적이 된다.

  연대하기 위해 아플 필요는 없다. 하지만 우리가 아픈 것이 필연이고, 그 아픔을 바탕으로 무언가를 할 수 있다면 마다할 필요 역시 없다. ‘아픔 = 연대’도 아니다. 아픔이 연대가 되기까지 거쳐야 하는 험난함이 있다. 그 험난함 뒤에 준비되어 있는 새로운 세계가 궁금한 이라면, 자신의 아픔을 쉬이 폐기하지 마라. 아픔을 통한 성찰이야 말로 세계를 향한 다른 입구일지도 모르니까.



3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160 일상/생각대표 '직함'을 맡은 친구의 상황을 보며... 23 메존일각 18/02/25 4829 0
    7056 게임20세기 말 철권 팀배틀 이야기 쬐금. 20 메존일각 18/02/06 4368 0
    7013 일상/생각한가로운 일요일, 집주인과의 푸닥거리 4 메존일각 18/01/28 3765 1
    6959 일상/생각방금 전 모 할머니와의 대화 10 메존일각 18/01/17 3343 4
    8071 일상/생각결혼하고 싶으세요? 식장부터 잡으세요! 26 메존일각 18/08/18 4770 1
    9032 일상/생각콘텐츠 개발 국비지원사업에 대한 소고 4 메존일각 19/04/03 3596 6
    9469 역사고려청자의 위상은 어느 정도였을까? 17 메존일각 19/07/24 5956 27
    11455 도서/문학『성의 역사』 4 - 『육체의 고백』 2 메아리 21/03/01 3938 6
    11176 창작괴물이 되는데 걸리는 시간(4) 1 메아리 20/11/26 3765 4
    11175 창작괴물이 되는데 걸리는 시간(3) 1 메아리 20/11/26 3289 2
    11174 창작괴물이 되는데 걸리는 시간(2) 1 메아리 20/11/26 3959 2
    11173 창작괴물이 되는데 걸리는 시간(1) 3 메아리 20/11/26 3758 3
    11138 도서/문학서평 - 장류진 「일의 기쁨과 슬픔」 2 메아리 20/11/15 4415 10
    9034 도서/문학서평 『가나』 – 정용준 2 메아리 19/04/04 5953 3
    8990 도서/문학서평 『너무 시끄러운 고독』 – 보후밀 흐라발 2 메아리 19/03/22 5129 6
    8810 도서/문학서평 「자살의 전설」 - 데이비드 밴 1 메아리 19/01/27 3727 4
    8786 도서/문학서평 - 「나무 위의 남작」 – 이탈로 칼비노 2 메아리 19/01/21 4433 10
    8758 도서/문학서평 -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 김영하 메아리 19/01/13 4147 11
    8726 도서/문학[서평] 브로크백 마운틴 (애니 프루) 메아리 19/01/04 4504 3
    9121 도서/문학서평 『나사의 회전』 – 헨리 제임스 메아리 19/04/25 4580 4
    8383 철학/종교은탄환의 딜레마 12 메아리 18/10/16 6088 19
    8187 IT/컴퓨터EJB 를 아시나요? (2) 6 메아리 18/09/09 4328 9
    7505 창작냄새 - 단편 소설 10 메아리 18/05/10 4749 6
    7452 철학/종교저항으로서 장자 8 메아리 18/04/28 5190 8
    7424 철학/종교적대적 현실 하에서 全生을 실현하려는 실천의 하나 : 무(武) - 2 1 메아리 18/04/22 3489 4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