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9/03/27 00:26:02수정됨
Name   Zel
File #1   AI.png (82.5 KB), Download : 19
Subject   AI와 영상의학의 미래는?


1. 미래에 대한 예측은 항상 쉽지 않습니다. 대부분 예언자를 원하지만, 예언자가 그리 흔한것도 아니고, 어쩌다 보니 뒷발로 맞춘거지 두번 맞출려면 어렵겠지요.
예전에 어떤 사이트에서 놀때 나름 잘난 척 하던 펀드 매니저는 그런 이야기를 했습니다. '미래는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대처하는 것이라고'
와 처음 들을땐 ㅈㄹ 멋있는 말이었는데... 참으로 무책임한 말인거 같기도 합니다. 이걸 영어로 옮기면 아마 'Don't try this at home'인거 같습니다. 오늘 영어 좀 되네요.

2. 이상은 모두 드립이고.... 짤방은 제가 이번 주에 강의하는 슬라이드 마지막입니다. 이걸 영어로 해야 하는데 뭐 제가 그런거 신경쓰는 연배는 아니라...  첫줄에 마침표가 빠진걸 발견했군요. endpoint에 s가 없는 것도 있고 문장 자체도 어색합니다만 뭐 한국에서 하는거라..

3. AI hype는 공학 업계에서 사실 먼저 드라이브를 걸었습니다. 근데 그 업계도 잘은 모르고, 그냥 뭐 나불거린거죠. 2014년인가에 어떤 사람이 미국에서 '영상의학과는 더 이상 전공의 수련을 멈춰야 한다. 어짜피 대체될 직업을 가르키는 건 니들 양심불량이다.' 이런 이야길 했어요. 처음 들을땐 아 ㅅㅂ 이거 뭐야 제정신 아니네 이랬다가.. 알파고 쇼크 이후에 다들 찬바람이 불었습니다. 그래서 2016년 RSNA라는 북미 영상의학회는 무슨 세기말 같은 분위기였어요.

4. 그래서 곧 대체 될 것 같았던 이 영역이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Discrimination은 끝났다라고 떠들던 그 양반들도 2018년엔 다들 몸을 낮췄더라고요. ImageNet은 수십만장의 사진으로 개 고양이 차 뭐 이런걸 찾는데 질환은 수십만개를 못구해요. 인체의 영상이란건 재밌게도 이 바닥에서 30년을 해도 처음 보는 영상이 나옵니다. 처음 본 사진을 해석할 AI는 아직까진 없습니다. 책임은 another level이지요.

5. 물론 강인공지능이 나오면 해결될 것 같습니다만 그때는 너도 한방 나도 한방이지 아 ㅆㅂ 나는 손재주가 좀 있는데 이런걸 AI님이 봐주진 않을거 같아요. 이게 singularity겠죠. 근데 그건 그거고 그 때가 오기 전까지는 개겨봐야죠.

6. 현재 의학 '업계'에선 AI란건 그냥 다시 도구가 되었습니다. 더 이상 AI가 사람만큼 혹은 사람보다 더 진단을 잘했다고 논문을 쓰면 리뷰어가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So what?' 그러게요.. AI가 사람만큼 하는 건 더 이상 이슈가 되질 않아요. 그러면 이걸 통해서 과연 얼마만큼 인류에 도움이 되었느냐, 사망률을 줄일 수 있었느냐, 재원기간을 단축가능했느냐, 의료재정을 아낄 수 있느냐를 증명해야 메이저 저널에 가는 겁니다.
그냥 새로운 통계방법이 나온거랑 근본적으로 큰 차이는 없습니다. 이미 의학계 최고 저널인 NEJM은 특정 조건에서 진행된 AI 논문은 바로 리젝을 시킵니다. General population이나, 조건 없는 적용에서 작동하는 AI만 선별하고 있고, 이 policy 이후에 통과한 논문은 없는 걸로 알고 있어요.

7. 물론 최근 특히 중국에서 나오는 논문들은 무섭습니다. 여전히 진실성에는 의문이 있지만 N number로 중국을 이기고, 의료윤리로 그만큼 막장인 나라는 없기 때문에 나오지요. 근데 AI연구란건 우리 환경에 맞는 data로 입력을 하였을 때 우리 환경에 맞는 결과가 나옵니다. 미국의 자율주행차 AI를 한국차에 주입시키면 '아 개민폐.. 앞에 저렇게 넓은데 안전거리 유지한다고 안붙이네.. 어쭈 깜빡이 넣어? ㅋ ㅈ돼봐라' 이렇게 되지요.
결국 AI란건 그 나라에, 그 의료기관에 가장 맞는 데이터를 넣었을 때 그나마 사람 구실을 하는 겁니다. 미국 솔랭 챌린저를 한국 LCK 넣으면 개호구 되는거죠. 그래서 한국에서 하는 AI연구란게 의미가 있긴 있습니다. 아 신토불이가 여기에서 내 밥줄을 챙겨주네요.

8. 최근에 AI 기반 음성판독 시스템을 석 달간 테스트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처음엔 너무너무 좋더라고요. 와 신기하네 정말 잘 알아듣네.. 근데 지금은 안써요. 한 5%가 부족한데 그거 때문에 너무 시간이 걸리는 거지요. 마치 아이폰 이전의 옴니아폰 쓰는 그런 느낌입니다. 생각보다 장벽이 있더라고요. 아무리 97%, 98% 수치적으론 인식률이 나와도 그 나머지가 너무 귀찮은거죠.

조금 다른 예를 들자면 쿼티 키보드나 물리 버튼 같은 그런거죠. 다 없애 버리면 차라리 적응하겠는데 아직까지 있으면 굳이 없는 걸 선택할 이유가 없지요. 대체 될때 대체 되더라도 대체 되기 전까진 굳이 쓸 이유는 없습니다.

9. 결론적으로 제가 저 미래를 어떻게 알겠습니까.. 그러고 솔직히 영상의학 보단 한국의 미래가 더 없다고 생각합니다. 열 살만 젊었어도 탈조센 하는데 그냥 이젠 ㅈㅂ 할 뿐이지요. 그러고 자신의 미래는 자신이 선택하는 거지 남이 만들어 주는 건 아닙니다.

10. 이 글은 음주상태에서 작성되었으며 예고 없이 삭제 될 수 있습니다.



28
  • 추천을 많이 해서 삭제를 막아보고자...
  • 업계 종사자의 정보가 큰 도움이 됨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367 사회빌게이츠의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NEJM 기고문 (시론) 15 Zel 20/03/11 5288 13
9252 의료/건강저희는 언제 새로운 시작을 할 수 있을까요.. 18 Zel 19/05/30 7170 66
8033 의료/건강제 2차 국공합작은 가능할것인가?: 원격진료 및 의료서비스발전법 논란 4 Zel 18/08/10 4646 3
7788 의료/건강리피오돌 사태는 어디로 가는가 35 Zel 18/07/04 5663 10
7741 의료/건강전공의 특별법의 이면 21 Zel 18/06/24 6050 7
7820 의료/건강고혈압약의 사태 추이와 성분명 처방의 미래 28 Zel 18/07/10 5211 20
6301 방송/연예소사이어티 게임 2 초중반 소감 15 Zel 17/09/17 5428 1
6152 의료/건강[kormedi] 문재인의 식약처, 트럼프의 FDA 10 Zel 17/08/23 5524 7
6088 기타[메디게이트뉴스] 대학병원 교수가 본 비급여대책 59 Zel 17/08/10 6788 4
5946 방송/연예엠넷아 너무 나갔다: 아이돌학교 26 Zel 17/07/14 5485 3
5892 의료/건강병문안 문화 개선, 가능한 일일까? 33 Zel 17/07/05 6675 0
5772 일상/생각음주운전에 관한 잡생각 47 Zel 17/06/11 5778 2
5638 IT/컴퓨터컴퓨터 바이러스에 대한 추억 19 Zel 17/05/15 4708 5
5427 일상/생각티타임용 잘난척 27 Zel 17/04/12 4168 4
6324 의료/건강의료기관 잠복결핵에 대한 추가 기사 30 Zel 17/09/23 5228 2
5188 일상/생각치킨값에 대한 단상.. 75 Zel 17/03/14 5179 10
4121 일상/생각퀴블러 로스의 '죽음의 5단계'와 사람들 바라보기. 8 Zel 16/11/10 5288 5
3572 일상/생각알던 사람들에 대한 단상 25 Zel 16/08/24 5159 1
9004 의료/건강AI와 영상의학의 미래는? 32 Zel 19/03/27 7262 28
3257 게임포알못의 포켓몬 고 2일차 소감. 9 Zel 16/07/13 4637 12
3094 일상/생각의사 '선생님' 이란 용어는 적절한가? 69 Zel 16/06/22 7962 0
2658 일상/생각제가 경험한 미국 행정 이야기. 28 Zel 16/04/21 5666 0
2526 방송/연예프로듀스 101이 끝났습니다. 기타 잡설들과 개인적 포인트. 3 Zel 16/04/02 4668 0
2081 일상/생각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34 Zel 16/01/21 4296 0
1893 의료/건강죽지않는 과학적 미신들 22 Zel 15/12/30 7441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