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8/25 19:50:42
Name   마르코폴로
Subject   한국식 파스타는 왜 맛이 없을까?
얼마전 방문했던 식당에서 양념으로 흥건하다 못해 파묻혀 있는 파스타를 보고 예전에 읽었던 이용재씨의 외식의 품격이라는 책의 일부분이 생각이 나서 소개해 봅니다.




짜장면, 칼국수, 메밀소바, 베트남 쌀국수 등, 아시아 면 음식을 살펴보다보면 몇가지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목으로 부드럽게 넘어가는 목넘김을 중시하고 적당한 쫄깃함이 부수적으로 따로 온다는 점이지요. 그래서 대부분이 국물 위주고, 국물이 없는 비빔면이라도 양념장을 최대한 물기를 머금은 듯 촉촉하게 만들어냅니다. 아시아에서 먹는 면의  대부분이 연한 밀로 뽑은 까닭입니다. 앞의 특징들은 연한 밀로 뽑은 면의 특징을 잘 살려주는 궁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밀은 쌀보다 단단해서 빻고 물을 섞어 반죽을 만들지 않으면 먹을 수 없습니다. 그 중에 국수에 쓰이는 것은 연한 밀입니다. 연한 밀의 경우 반죽을 하면 적절하게 탄성을 지닌 면을 뽑아낼 수 있습니다. 면의 쫄깃함과 별개로 육수나 양념장이 원할한 목 넘김을 위해 사용됩니다. 일본의 자루 소바 같은 경우 목넘김을 즐기기 위해서 씹지 말고 그대로 넘기라고 권하기도 합니다.

파스타를 위한 밀은 우동이나 소면에 쓰이는 연한 밀보다 훨씬 더 단단합니다. 이름마저 라틴어로 단단하다는 뜻의 '듀럼(durum)'밀 입니다. 이를 빻은 가루를 '세몰리나{(semolina)' - 라틴어로 밀가루를 뜻하는 'simila'에서 비롯된 말입니다}  라고 합니다. 세몰리나는 단단한 탓에 입자가 곱지 않고 물을 더해 반죽해도 단단하고 뻑뻑합니다. 따라서 우리가 생각하는 면처럼 반죽을 늘려서 면을 뽑을 수가 없으니 글루텐 함량이 적어 부스러지는 메밀 면처럼 틀에 반죽을 넣어 누르는 가공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이런 면을 말리면 우리가 슈퍼마켓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파스타면이 됩니다. 딱딱하지만 수분을 적게 머금은 덕분에 오래두고 먹을 수 있는 것이지요. 밀이 가진 단단함의 차이 때문에 파스타면의 식감은 소면처럼 쫄깃하거나 부드럽지 않고 꼬들꼬들한 느낌이 많이 납니다. 이 꼬들꼬들함이 파스타면이 가지는 매력이라고 할 수 있지요. 하지만 이런 특성 때문인지 국물로 요리하는 방식과는 궁합이 좋지 않습니다. 면을 좀 더 부드럽게 하기 위해 오래 삶으면 짧게 부서지듯 끊어져버려서 스파게티나 링귀네처럼 긴 면이라면 포크로 감아올릴 수가 없게 됩니다. 그리고 소면에 비해서 잘 붇지도 않고 붇는다 하더라도 훨씬 딱딱합니다. 그래서 설렁탕이나 국밥 등에 넣어서 뜨거운 국물과 함께 후루룩 마시는 형태로는 먹기가 쉽지 않습니다. 우리식으로 국물이나 물기를 머금은 양념과 같이 먹으면 서로 어울리지 않고 겉돌게 되는 것이지요.

파스타면이 국물과 궁합이 맞지 않는 또다른 이유가 있습니다. 면을 삶으면 면의 겉에 서로 엉겨 붙게 만드는 전분이 남습니다. 연한 밀로 만든 면의 경우 서로 달라붙고 엉기지 않도록 삶은 뒤 찬물로 씻어 전분기를 걷어 내줘야만 합니다. 집에서 국수를 삶을 때 마지막에 찬물로 헹구는 것은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하지만 파스타의 경우는 정반대입니다. 남은 전분을 헹궈내 버리면 점도가 높은 올리브기름이나 버터 등의 지방을 사용하더라도 면에 달라붙지 않습니다. 파스타 포장지를 살펴보시면 소면처럼 찬물에 헹궈먹으라는 말이 없는 것은 이런 이유때문이지요. 이런 파스타를 삶은 뒤 국물에 비벼버리면 물에 헹궈 전분기를 씻어버리는 것이나 다름없으니 면은 면대로, 국물은 국물대로 따로 놀게 됩니다. 한국식 파스타를 먹을 때 옷으로 국물이 많이 튀는 이유도 이 것때문이지요.

파스타는 한국의 면 요리와 다르게 면이 중심이 되는 요리입니다. 소스는 오로지 거들 뿐이고, 면을 압도하거나 양을 늘리기 위해서 존재해서는 안되는 것이지요. 물냉면은 육수 맛, 비빔냉면은 다대기 맛으로 먹는 등, 양념 맛으로 먹는 우리 면음식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빌 버포드의 히트라는 책에 보면 한국식 면요리와 파스타의 차이를 명확히 보여주는 구절이 나옵니다. '소스는 한 번 끼얹을 정도면 돼. 핵심은 파스타지 소스가 아니니까'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42 요리/음식한국식 파스타는 왜 맛이 없을까? 14 마르코폴로 15/08/25 12643 1
    769 요리/음식더운 여름에 마셔볼만한 값싸고 시원한 화이트와인 11 마르코폴로 15/08/11 9388 0
    750 정치대통령 담화문과 소설 속 한국사회 23 마르코폴로 15/08/08 4603 0
    725 정치남중국해의 영유권을 주장하는 중국의 역사적 근거. 12 마르코폴로 15/08/04 10830 0
    717 정치복잡한 남중국해 문제 8 마르코폴로 15/08/03 7849 0
    704 요리/음식지금은 사라진 서양식 젓갈, 가룸 15 마르코폴로 15/08/02 18027 0
    695 요리/음식'내 마음은 항상 깔롱에 있소' - 샤또 깔롱 세귀르 8 마르코폴로 15/08/01 7256 0
    689 기타북극광(오로라)에 대한 이야기 5 마르코폴로 15/07/31 5124 0
    686 꿀팁/강좌마트 와인 코너 앞에서 서성이는 사람들을 위한 팁(드라이 스파클링 와인편) 8 마르코폴로 15/07/30 10247 0
    680 역사당신 그림의 가격은 우리 와인 4박스요.- 샤또 무통 로칠드 14 마르코폴로 15/07/29 9759 0
    673 꿀팁/강좌마트 와인 코너 앞에서 서성이는 사람들을 위한 팁(달콤한 스파클링 와인편) 21 마르코폴로 15/07/28 13726 0
    672 요리/음식'폴 로저' - 처칠이 사랑한 와인 13 마르코폴로 15/07/28 7417 0
    667 요리/음식연인 혹은 아내에게 선물하기 좋은 의미를 가진 와인(~3만원이하) 24 마르코폴로 15/07/27 11482 0
    654 역사주왕은 왜 폭군이 되었을까? 15 마르코폴로 15/07/25 8445 0
    647 역사중국의 4대 미인과 요리 21 마르코폴로 15/07/24 9325 0
    641 정치'일대일로', 중국이 꿈꾸는 세계 5 마르코폴로 15/07/24 7687 0
    632 역사한일관계보다 더 심각한 중국과 몽골의 관계 10 마르코폴로 15/07/22 12780 1
    628 요리/음식콩국수, 서민음식과 양반음식의 하이브리드 33 마르코폴로 15/07/21 8432 0
    583 역사서울에도 없는 서울한정식 30 마르코폴로 15/07/13 8597 0
    562 역사피맛골, 사라진 골목에 대한 아쉬움 18 마르코폴로 15/07/10 11365 0
    544 요리/음식냉면에 관한 잡설 35 마르코폴로 15/07/08 10234 0
    463 기타우울증을 위한 치료약 - 샤또 샤스스플린 15 마르코폴로 15/06/28 10636 0
    780 정치한국과 비슷한 논리, 미얀마의 최저임금 9 마르코폴로 15/08/12 6777 0
    230 기타송창의 + TV조선 = ? 2 마로니에 15/06/06 10287 0
    208 기타[뉴스] 중국 양쯔강 둥팡즈싱 호 침몰사고 16 마로니에 15/06/04 8885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