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8/09/10 12:27:14
Name   moqq
Subject   집이 사는 것이 아닌 사는 곳이더라도 한국인에겐 사서 사는 곳?
현재 부동산 정책의 조타수라는 김수현 수석이 예전에 집필한 책이 있다.
"부동산은 끝났다."
이 책은 책이라기보다는 노무현 정권 때 왜 집값을 잡지 못했는가?에 대한 백서같은 성격의 책이라 한다.

이 책의 내용중에 최근에 잘 인용되는 부분은 다음과 같다.
"중대형 아파트가 밀집된 고소득층은 한나라당에 투표했다. 그 반대의 경우는 민주당이나 야당이다.  ~~중략~~
다세대, 다가구 주택이 재개발되어 아파트로 바뀌면 투표성향도 확 달라진다. 한때 야당의 아성이었던 곳들이 여당의 표밭이 된 데는 그런 이유가 있다."
즉 민주당 쪽에서는 중대형 아파트의 자가소유가 늘어나는 것이 불리하다는 의미로 쓴 내용이다.
그래서 집값이 비싸지고, 비싼 아파트의 소유자가 적을 수록 좋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도 있고,
현재 상황과 어느 정도 맞아떨어지기도 한다.

근데 과연 그럴까? 예전에 박근혜 당선 당시
도시보다는 지방에 재산이 적은 노인층 들이 주로 박근혜에 투표했다는 결론이 나와서
새누리 측에서는 제대로 된 민심을 반영하는 결과라고 자평한 기억이 나는데..
미국에서도 민주당 텃밭은 주로 도시의 배우신 분들 아니었던가 싶기도 하고..

여하간 현재 대한민국의 주택 자가 보유율은 61%쯤 된다. 그러면 집값이 오르면 61%의 국민은 행복해져야한다.
나머지 41%에 비해 자산이 확 늘어난거니까.. 근데 여론을 보면 그렇지 않다
결국 집값이 올라도 정권에는 문제다.
노무현 정권의 최대 실책을 종부세로 보는 사람들도 있으니까..
오히려 이명박근혜 때 집값은 크게 오르지 않았고, 그 때 부동산으로 불평하는 사람은 없었던 것 같다.
그렇다고 떨어져도 안될 것 같고... 답이 뭘까?

개인적인 생각으로 한국인에게 아직까지 집은 특별한 가치를 지닌다고 생각한다.
선진국처럼 월세내고 사는 문화로 바꿔야한다는 의견이 정부인사 쪽에서 들었던 것 같은데 무리인 것 같다..
외국에서는 어떤지 몰라도
한국사람들은 젊을 때는 월세내고 살아도 나이들어서
가족을 꾸리고서도 월세방에서 살고 싶은 사람은 없다고 생각한다..
오죽하면 심즈를 해도 집부터 산다고 하는 게 한국사람들인데..

61%가 보유하고 있는 집값이 올랐는데도 많은 사람들이 불만인 데에는 그런 문화적 배경이 있는 게 아닌가 싶다.
모두가 이득을 보기 위해 뛰어든 주식시장에서도
내 주식이 최고수익률을 보여준 종목이 아니더라도 사람들은 수익이 나면 만족한다.
내 주식이 최고 비싼 대장주가 아니더라도 사람들은 수익이 나면 만족한다.
근데 집에서는 내 집이 조금 오르고 더 좋은 집이 많이 오르면 상대적 박탈감에 시달린다.
이건 결국 나도 더 좋은 집에 갔어야하는데 갭이 커진다고 생각하는 것 때문인 것 같다..
이런 상황에서 집이 잠시 사는 곳이 될 수 있을까?
20대 이하 자가 소유율은 11%쯤 된다는데
더 젊은 사람들의 생각은 좀 다르려나 모르겠다..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264 일상/생각메타버스와 탑골공원 5 moqq 21/11/12 3787 3
    11643 경제최근 부동산 둘러본 소감. 13 moqq 21/05/05 5515 2
    11647 정치부동산 정책에 대한 단상 11 moqq 21/05/06 3853 2
    11558 일상/생각XXX여도 괜찮아. 8 moqq 21/04/07 3693 5
    11571 정치"서울 완패하면 정권 무너져..與 '개혁 더 강하게' 이러면 망해" 13 moqq 21/04/11 4483 1
    11325 정치적폐. 23 moqq 21/01/07 4912 19
    11579 정치민주당이 뭘해야할까? (20대 남성관련) 76 moqq 21/04/14 22901 7
    11023 기타리튬 전망 중간 정리 (요약 아직 모르겠음) 6 moqq 20/10/04 5246 1
    8196 경제집이 사는 것이 아닌 사는 곳이더라도 한국인에겐 사서 사는 곳? 17 moqq 18/09/10 5179 1
    11869 일상/생각공교육+온라인 강의? 32 moqq 21/07/11 4653 1
    9470 일상/생각욕심이라는 것.. 4 moqq 19/07/24 4044 1
    9111 영화어벤져스 영화를 역주행하며 느낀 히어로 등록제. (스포주의) 14 moqq 19/04/23 4299 0
    9374 기타미국 각 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는? 7 moneyghost 19/07/01 4629 0
    7123 의료/건강백신과 antibody dependent enhancement 1 moneyghost 18/02/16 6451 9
    6616 게임포켓몬고 하면서 본 어리둥절한 상황 7 moneyghost 17/11/19 7467 6
    5563 도서/문학제가 가지고 있는 '이기적 유전자'에 대한 단상 15 moneyghost 17/05/03 4819 1
    10776 기타"추미애 장관, '공소권 없음' 박원순 성추행 의혹 진실 파악해야" 4 Moleskin 20/07/14 5036 1
    9840 도서/문학책 나눔합니다. 14 Moleskin 19/10/15 5052 14
    9700 도서/문학『오직 한 사람의 차지』를 읽고 Moleskin 19/09/24 4485 5
    9678 방송/연예《멜로가 체질》은 왜 실패했는가 10 Moleskin 19/09/18 6717 4
    9653 일상/생각노랫말. 2 Moleskin 19/09/11 4073 4
    5624 사회웅동학원과 한국의 사학법인 61 moira 17/05/13 8133 15
    4769 꿀팁/강좌인간의 일 22 moira 17/02/04 5875 14
    4599 문화/예술[15금] 고대 그리스 남성의 이상적인 모양 19 moira 17/01/11 11007 13
    3920 도서/문학노벨문학상 제도에 관한 단상 67 Moira 16/10/15 7771 3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