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8/03/16 05:24:25수정됨
Name   Nardis
Subject   Bossa Nova - 이파네마 해변에서 밀려온 파도
본편 이전 연재글 리스트 :
================================================
1편 Ragtime             https://new.redtea.kr/?b=3&n=5968
2편 Dixieland            https://new.redtea.kr/?b=3&n=6009
3편 Orchestral Jazz   https://new.redtea.kr/?b=3&n=6047
4편 Swing Jazz         https://new.redtea.kr/?b=3&n=6086
5편 Bebop                https://new.redtea.kr/?b=3&n=6237
6편 Cool Jazz           https://new.redtea.kr/?b=3&n=6548
7편 Hard Bop            https://new.redtea.kr/?b=3&n=6664
8편 Modal Jazz        https://new.redtea.kr/?b=3&n=6998
=================================================

한달여간 새로운 글을 쓰지 않고 늑장을 부리고 있는 저 자신에게 나름의 채찍질을 가하기 위해
기존의 빌 에반스 외전을 잠시 접어두고 새로운 글을 쓰기로 마음먹었습니다.
물론 빌 에반스 외전의 뒷 이야기에는 제가 가장 좋아하는 재즈 뮤지션의 비극 일로를 담고 있기 때문에
먹먹하여 좀처럼 글을 쓰기 어려운 탓도 있습니다.

Bossa Nova, 즉 New Wave는 미국에서는 물론 브라질에서도 그 당시에는 새로운 흐름이었습니다.
미국에서는 느린 삼바 리듬에 실린 퍼커션과 클래식 기타의 부드러운 조화를 신선하다고 느꼈고
브라질에서는 분명히 삼바 리듬이지만 춤추는 음악이 아니라 앉아서 차분히 감상할 수 있는 새로운 음악이라고 느낀 점은
서로의 관점의 차이가 드러나는 부분이긴 하지만요.
그러면 그 새로운 흐름은 어디서부터 시작되었는지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956년 리우 데 자네이루의 연주자들을 중심으로 생겨난 해변 문화에서 유래한 브라질의 보사노바는
상기했듯 핑거피킹으로 연주하는 클래식기타와 다양한 퍼커션으로 연주되는 2/4박자 삼바리듬을 특징으로 하며
최초의 보사노바 곡으로 알려진 Chega de Saudade (영어 제목 : No More Blues)를 통해 이러한 특징을 느낄 수 있습니다.


메인 멜로디에 두드러지는 클라이막스가 없고 계속 이어질 것 같은 느낌의 곡의 흐름도 특징적

이후 1959년 영화 [흑인 오르페 Orfeu Negro]와 그 OST 작업을 통해
시인이자 극작가인 [비니시우스 지 모라에스 Vinicius di Moraes]와 작곡가 [안토니우 카를로스 조빔 Antonio Carlos "Tom" Jobim]이 만나
이후 수 많은 보사노바 명곡들을 만들어내는 콤비가 됩니다. 이 영화의 테마이자 Mahna de Carnaval이라는 또 다른 이름을 가진 곡을 들어보겠습니다.
(이 곡은 기타리스트 루이즈 봉파 Luiz Bonfa의 곡이지만...)


영화에서는 밖에선 카니발이 한창인데 슬픈 노래를 부르는 이상한 분위기를 조성하며 등장...

이후 안토니우와 비니시우스의 곡들이 미국에도 조금씩 전해지기 시작하였고,
이 아름다운 음악은 때마침 유럽 투어를 다녀온 쿨 재즈 스타, 색소포니스트 스탄 게츠의 귀를 사로잡았습니다.
이에 스탄은 당시 브라질 음악가들과 본격적인 교류를 하고 있던 기타리스트 찰리 버드 Charlie Byrd와 함께
보사노바의 리듬과 곡을 재즈의 언어로 해석한 [Jazz Samba]라는 앨범을 발표하여 반응을 얻었습니다.


다소 과한 느낌의 솔로 연주가 포함되어 있지만, 특유의 리듬감은 잘 살려낸 모습

이 앨범은 보사노바 리듬의 쿨 재즈라고 하는 것이 더 어울릴 것으로 보이지만
미국에서 잘 듣지 못했던 이국적인 리듬감에 대한 반응이 좋았으므로, 스탄은 본격적으로 브라질 뮤지션들과 교류하고자
안토니우와 그의 친구 기타리스트 [조앙 지우베르투 Joao Gilberto], 그리고 조앙의 아내 아스트루드 지우베르투 Astrud Gilberto와
1963년 만나게 되었고, 이듬해인 1964년 명반 중에 명반으로 손꼽히는 [Getz/Gilberto]를 발표하게 됩니다.


전작인 Jazz Samba에 비하면 훨씬 담백해지고, 무엇보다 읊조리는 듯한 보컬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후 브라질에서도 미국의 시장을 노리고 재즈 풍 보사노바를 본격적으로 만들어내기 시작하였고,
이는 브라질 대중 음악이 전통적인 삼바에서 MPB로 변화하는 데에도 기여하였으며,
두 장르를 크게 구분하지 않고 함께 활동하는 연주자들도 늘어나는 등의 변화도 이어졌습니다.



5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61 기타제모에 목숨 거는 이유... 20 neandertal 15/06/08 8363 0
    250 기타이거 해봤으면 여러분들도 다 호모 사피엔스... 18 neandertal 15/06/07 9268 0
    778 기타죽을 뻔한 쉐보레 콜벳(Corvette)을 살린 사나이... 14 Neandertal 15/08/11 7763 0
    9975 오프모임11월 17일 양재 at센터 우리술대축제 함께 가실분! 70 naru 19/11/10 5681 4
    9765 영화[불판] JOKER 감상 & 스포일러 불판 개시 25 naru 19/10/03 4587 0
    9634 오프모임[불판] 태풍속 삼해소주벙 여정은 어디로 가는가? 20 naru 19/09/07 5033 5
    9595 오프모임이번주말(31, 1) 북촌 삼해소주벙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 30 naru 19/08/28 5176 8
    9314 요리/음식코엑스 차 박람회 간단후기 (6.13~6.16) 11 naru 19/06/13 5763 7
    9618 오프모임벌써부터 흥벙 예감인 9/7(토) 5시 북촌 삼해소주벙 모집합니다. 57 naru 19/09/03 4891 5
    7715 오프모임6월 23일 3시 홍차와 티푸드를 흡입하는 Let's tea time! 37 naru 18/06/19 4513 8
    7698 오프모임홍차와 티푸드를 흡입하는 Let's tea time! 31 naru 18/06/16 6922 9
    6383 문화/예술가을 인디공연 세종문화회관뒤뜰 2 naru 17/10/07 3669 3
    6283 문화/예술사비나앤드론즈 공연소식 6 naru 17/09/15 4000 3
    6191 문화/예술이번달에 간 공연들 감상 5 naru 17/08/28 3697 3
    7438 영화[불판] 어벤저스 인피니티 워 스포는 여기로 모이자고! 109 naru 18/04/25 16955 1
    4709 음악당일할인티켓 들어봤나요? 12 naru 17/01/27 6460 4
    9666 일상/생각그녀는 바라던 자유를 얻었을까? 4 Nardis 19/09/15 4944 14
    9656 오프모임[최종_final_ver1.txt] 9/12일 긴 하루를 보내는 모임 안내 및 불판입니다. 17 Nardis 19/09/12 5408 8
    9640 오프모임<업데이트!!> 9/12일 저녁 모임 생각 중입니다 48 Nardis 19/09/08 5267 5
    7242 음악Bossa Nova - 이파네마 해변에서 밀려온 파도 4 Nardis 18/03/16 3844 5
    4929 음악가사를 모르는 노래 찾는 이야기 5 mysticfall 17/02/19 3295 1
    12599 정치대선 불판 없나요? 예상및 잡담입니다. 110 MyNona 22/03/09 5244 1
    5674 일상/생각겟아웃 보고 맛있는 전에 막걸리 한 사발....(스포 없어용) 4 Morpheus 17/05/19 6074 3
    5548 음악지금도 애정하는 노래방 애창곡 3곡 5 Morpheus 17/04/30 4817 2
    5474 요리/음식집에서 스테이크 구우면 맛이가 없는 이유 35 Morpheus 17/04/19 7651 15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