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7/02 07:50:52
Name   뤼야
Subject   사랑 - 롤랑 바르트[사랑의 단상]의 한 구절로 생각해보기


중국의 선비가 한 기녀를 사랑하게 되었다. 그 기녀는 선비에게 "선비님께서 만약 제 집 정원 창문 아래서 의자에 앉아 백일 밤을 기다리며 지새운다면, 그때 저는 선비님 사람이 되겠어요." 라고 말했다. 그러나 아흔아홉번째 되던 날 선비는 자리에서 일어나 의자를 팔에 끼고 그곳을 떠났다.

- 롤랑 바르트 [사랑의 단상] 중에서 -

왜 일까요? 하룻밤만 더하면 그에게 내려진 일종의 '집행'은 끝나는 셈인데 선비는 왜 떠나버렸을까요?
아흔아홉번째 되던날 의자를 팔에 끼고 떠난 선비를 보며 기녀는 어떤 생각을 했을까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십니까?

연인들간의 메세지는 대체로 투명하지 못할 경우가 많습니다. 롤랑 바르트가 인용한 중국의 옛이야기는 이러한 '연인들의 신호의 불투명함'을 극단적으로 부풀려 만든 이야기겠지요. 말하자면 기녀가 선비에게 전한 '기다리라'는 신호의 내용은 선비의 입장에서 매우 이해하기 어려운 것입니다. 백일을 향해 가는 시간동안 기녀의 집 정원 창문 아래서 선비가 전달받은 사랑의 신호는 서서히 붕괴해갔을테지요. 선비는 아마 '나는 누구? 여긴 어디?'하며 회의했을 것입니다.

기녀의 입장에서 이야기해볼까요? 처음에 기녀는 선비를 사랑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선비를 사랑하게 되려면 그녀에게는 현실의 긴장에서 풀려나(말하자면 선비는 기녀가 생각했던 이상형은 아니었겠죠.) 둘에게 내려진 사랑의 운명을 낭만화할 수 있는 계기가 필요했을 겁니다. 사랑에 빠진 순간 여자는 '나는 너고, 너는 나'라는 화엄론적 명제에 묶이고 마는데, 여자에게 이러한 환몽幻夢의 경지는 거저 찾아오는 것이 아닙니다.

홍차넷이 생기기전에 피지알의 질문게시판에 올라오는 수많은 연애에 관한 질문 중 대다수는 '이 여자의 신호를 받아들여야 할 것인가? 말것인가?'였습니다. 중국의 옛이야기에 나오는 선비마냥 남자는 여자가 보낸 신호를 어려워합니다. 그럴 수 밖에 없지요. 여자인 제가 보아도 난해한 신호가 많았으니까요. 상대의 신호를 받아들이고 그에게 내려진 선고없는 형벌을 견뎌야 하는지, 아니면 알쏭달쏭한 신호를 밀쳐내야 하는지에 대해 항상 여러 의견이 분분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다른 사람의 연애담을 듣는 것은 즐겁습니다. 이제 막 본격적으로 연애를 시작하려는 이들에겐 타인의 연애담을 통해 자신만의 판타지를 만들기도 하고, 실패한 연애담을 반면교사로 삼을 수도 있겠죠. 또 이제 연애를 할 수 없는 처지가 된 기혼자(과연 그럴까 싶기도 하지만)나 이미 연인이 있는 사람들은 짜릿했던 지난 추억을 회고하는 계기가 되거나, 매너리즘에 빠진 연인과의 관계를 되짚어 볼 수도 있게 해주기도 합니다. 무엇이 되었든지 간에 좋습니다. '사랑'이야기니까요. 그럼 이 연애의 희비극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롤랑 바르트는 이렇게 처방합니다. [진실과 거짓, 성공과 실패를 떠나 나는 그냥 받아들이며 긍정한다. 모든 궁극성으로부터 물러나 우연에 따라 사는 것이다.(중략) 모험에 부딪혀서도 (내게 우연히 다가온) 승리자도 패배자도 아닌 채로 빠져나온다. 나는 비극적이다.] 다른게 아니고, 그것이 사랑의 문제라면 우리는 언제나 비극적이어야하지 않을까요?

출근은 언제 하려고 이렇고 있는 걸까요? 저야말로 비극적입니다.
뻘글과 함께 좋은 하루 되세요~



0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06 일상/생각맥심코리아 9월 표지사진에 대하여 64 뤼야 15/09/04 7694 0
    880 과학/기술올리버 색스 타계로 다시 읽어보는 [뮤지코필리아] 13 뤼야 15/09/01 7863 1
    873 일상/생각꿈과 미래 21 뤼야 15/08/31 5610 6
    748 문화/예술음악에 관한 다섯 가지 이야기 9 뤼야 15/08/08 6434 0
    730 도서/문학[리뷰]필경사 바틀비 - 허먼 멜빌 13 뤼야 15/08/05 10303 0
    706 영화안티고네는 울지 않는다 - 윈터스 본(Winter's Bone) 6 뤼야 15/08/03 7450 0
    701 도서/문학사라, 쥬디, 앤 그리고 블루 - 여자와 아버지 7 뤼야 15/08/02 7023 0
    674 도서/문학너무 유창한 화자의 문제 26 뤼야 15/07/29 9623 0
    588 영화[리뷰]하울의 움직이는 성 - 남녀의 공포와 동반성장 22 뤼야 15/07/15 10726 0
    564 요리/음식이탈리안 식당 주방에서의 일년(5) - 마지막 이야기 46 뤼야 15/07/11 9832 0
    548 요리/음식이탈리안 식당 주방에서의 일년(4) - 토마토소스만들기 29 뤼야 15/07/09 10638 0
    536 요리/음식이탈리안 식당 주방에서의 일년(2) 24 뤼야 15/07/07 7478 0
    529 요리/음식이탈리안 식당 주방에서의 일년 38 뤼야 15/07/07 8658 0
    515 도서/문학[한밤의 아이들]과 퀴어퍼포먼스로 읽어보는 시선과 권력의 이야기 16 뤼야 15/07/05 8490 0
    539 요리/음식이탈리안 식당 주방에서의 일년(3) 20 뤼야 15/07/08 8692 0
    491 도서/문학사랑 - 롤랑 바르트[사랑의 단상]의 한 구절로 생각해보기 15 뤼야 15/07/02 10554 0
    483 도서/문학[문학]얼굴을 붉히다 - 송재학 6 뤼야 15/07/01 8507 0
    482 도서/문학[문학] 지하인간 - 장정일 9 뤼야 15/06/28 9837 0
    464 일상/생각2015년 퀴어 퍼레이드 후기 25 뤼야 15/06/28 8228 0
    418 도서/문학가라타니 고진, 조영일, 박가분 그리고 장정일 38 뤼야 15/06/24 14047 0
    390 도서/문학진화한 라푼쩰 - 토마스 핀천 [제49호 품목의 경매] 11 뤼야 15/06/21 9620 0
    343 일상/생각안고수비(眼高手卑) - 신경숙의 표절시비에 대하여 42 뤼야 15/06/17 10319 0
    332 도서/문학금서(禁書)읽기 - 장정일 [내게 거짓말을 해봐] 25 뤼야 15/06/15 20693 1
    313 문화/예술레코딩의 이면 그리고 나만의 레퍼런스 만들기 30 뤼야 15/06/12 9608 0
    258 도서/문학남자의 詩, 여자의 詩 6 뤼야 15/06/08 9401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