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1/25 16:04:18
Name   Liebe
Subject   가족 아이에게 해 주면 좋은 말
우리말은 참 아름답지만 감정을 표현하는 말들을 상당히 입밖으로 내기에는 어색한 경우가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사랑해~ 글로는 참 아름답지만 말로 나오는 순간 상당히 오글거리잖아요.

주말에 모처럼 교회를 갔는데, 가족과 관련된 책을 55권이나 쓰셨다는 목사님께서 출장오셔서 연설하시는 걸 들었는데요.

그 분이 부부간의 신뢰가 가정에서 가장 중요하고 부부간의 사랑이 먼저이고 그 다음이 아이들을 챙겨야 한다고
이야기하시면서 언뜻 키즈센트릭 어린이 유아중심으로 돌아가는 집에 대하여 우려도 표시하셨어요.

그러면서 부부 사이에 꼭 사랑의 표현을 말로 나타내어라고 하네요.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리서치를 인용하시면서 이런 감사의 표현을 하는 부부일수록 부부사이가 좋다고 하는데요.

배우자에게 감사의 말표시를 하루 중에 1%는 그래도 표현한다 이러면 하루에 약 15분은 그런 표현을 하는 사람이라고 하는데요.
15분이나 아내나 남편에게 고마왔어 고마와 사랑해 라고 말로 표현하는 집이 과연 얼마나될까 싶은 생각이 들었어요.
중요한 건 그만큼이나 우리가 사람들에게 배우자 혹은 가족에게 크게 감사의 표현에 인색하다는 것이겠지요.

그럼..원래 이야기하고 싶었던 아이가 있는 가정이라면 꼭 해주셨으면 하는 육아법이 있어서 나누고 싶어요.

좀 오글거리기는 하는데요.

아이가 침대에 자러가면 책도 읽어주고 어서 자라 소리도 질러주고 부모님들은 아이를 재우기 위해서 많이 노력하시잖아요.

시간이 되실때 하루 평화로운날... 자기 전이나 아니면 주말에 빈둥거리며 아이와 함께 놀게 되실때요.
아이가 침대 혹은 자리에 누울때 엄마나 아빠 어느분이라도 상관없는 것 같아요.
함께 아이 옆에 털썩 함께 누워보세요. 엇...엄마가 왜이래? 아빠가 왜이러지 하는 표정이 보일꺼에요.그러고 나서요.

아이에게 이런 표현 해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엄근 진지하게 말씀하셔야해요.

"누구야..너 아니?"
"누구야... 너가 엄마 아빠의 아이로 태어나주어서 고맙다! 너가 태어나서 엄마가 혹은 아빠가 얼마나 좋아하고 있는 줄 아니?"
"누구야...너 자체로 엄마 아빠는 그냥 너무 좋아!"
"누구야...너가 너여서 너무 좋아!"

아주 꼬맹이들에게는 인지측면에서 어려울꺼구요. 유아원다니고 선생님 말귀 알아듣는 나이라면 혹은 초등학생들 중학생들
심지어 고등학생 자녀분들에게도 슬쩍 건내보세요.

핵심은 현재 진행형이어야하는 것이에요.

왜냐면 우리는 태어난 것만으로도 참 소중한 존재이거든요. 더욱이 후세가 있으시면 배우자 연인이 있으시면 아님 없으시면
그냥 나한테라도 이야기해보세요.

거울을 보시면서 자신에게 이야기해보세요.

"누구야...난 너가 너여서 참 좋아!" 라고요.

어릴때 유치원 선생님께서 사과 같은 내 얼굴 예쁘기도 하지요. 라고 노래를 가르쳐주셨어요. 전 이 노래를 참 좋아해요.
눈도 반짝 코도 반짝 입도 반짝반짝 거리는 우리 어린이들의 마음을 그대로 표현해주는 노래인데요.
아이에게 그랬어요. 이 닦을 때...꼭 이 노래 불러봐~ 너 사과처럼 참 예뻐진단다!

이렇게 오늘도 저는 불철주야로 학업이 아닌 세뇌교육에 애쓰고 있습니다. :)






6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200 일상/생각트라우마 인폼드 케어 - JTBC 인터뷰 유감 12 Liebe 18/03/06 5734 14
    7137 꿀팁/강좌구글북스에서 샀는 전자책을 킨들로 읽기 7 Liebe 18/02/18 23710 2
    7134 일상/생각나의 커피 컵 이야기 15 Liebe 18/02/18 4226 2
    7026 기타미장 플라스 8 Liebe 18/01/31 4657 3
    6992 육아/가정육아 - 자녀의 컴퓨터 교육에 대하여 9 Liebe 18/01/24 5710 5
    6877 일상/생각영화관의 비상구 계단과 관련해서 3 Liebe 18/01/02 3414 1
    6574 일상/생각미국 고등학생 축구 진로문제 21 Liebe 17/11/11 3732 5
    6344 사회미국내 한인 소득과 아시안 소득 비교 6 Liebe 17/09/26 4678 3
    6297 일상/생각베트남 사람들 그리고 다문화의 매력 3 Liebe 17/09/17 3983 5
    5920 일상/생각정보의 범람과 더 컨버세이션 프로젝트 2 Liebe 17/07/10 3421 2
    5801 일상/생각미국 슈퍼마켓 그리고 홀푸드 이야기 11 Liebe 17/06/17 5892 1
    5765 일상/생각우연한 합석 7 Liebe 17/06/10 3805 15
    5524 일상/생각동성애의 결혼과 인권의 연관성 16 Liebe 17/04/26 4544 15
    5480 기타미국내 망명 신청 4 Liebe 17/04/20 4348 5
    5450 일상/생각행복이란 9 Liebe 17/04/15 3444 6
    5359 육아/가정실리콘밸리 이야기 - 미국의 6학년 과학교실 4 Liebe 17/04/03 4565 1
    5240 사회에스노센트리즘 2 - 미국의 육아 32 Liebe 17/03/20 5112 6
    5229 사회에스노센트리즘 - 육아와 직업 19 Liebe 17/03/19 4970 3
    5178 일상/생각여름 향수 15 Liebe 17/03/14 3230 0
    5078 일상/생각엘리트 사회의 철학적 빈곤 21 Liebe 17/03/05 4080 1
    5021 꿀팁/강좌스마트폰 사진의 GPS 정보 10 Liebe 17/02/27 5176 0
    4932 육아/가정육아일기 - 아이들 블럭 & 종이로 만들기 2 7 Liebe 17/02/19 4453 2
    4798 기타작은 일부터 시작합시다. 10 Liebe 17/02/07 3764 8
    4753 사회내가 바라보는 동성애 11 Liebe 17/02/03 4975 5
    4695 육아/가정가족 아이에게 해 주면 좋은 말 20 Liebe 17/01/25 5301 6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