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11/08 20:17:18
Name   기아트윈스
Subject   시국 단상: 박대통령과 골룸
1.

유학와서 놀랐던 것 중 하나는 공부에 대한 영국 학생들의 태도가 저와 사뭇 다르다는 거였어요. 전 그저 좋은 학교로, 더 높은 단계로 가기 위해 아득바득 기어올라가고 있는데 얘들은 그 옆에서 팔자 좋게 [...란 무엇일까] 같은 열라 추상적이고 학구적인 문제의식을 하나씩 품고 해답을 얻기 위해 책을 뒤지고 있더라구요. 연구능력 자체는 빡세게 굴러온 제가 좀 더 높을지 모르지만 태도만 놓고 보면 그들은 도인이요 저는 속물 같았어요.

연구를 통한 진리탐구 자체가 목표가 아니라 그저 위로 올라가는 게 목표였기에, 저는 한 단계가 끝나면 풀썩 주저앉아 버리고 말아요. 일단 올라가고 나면 목표를 달성했다는 느낌에 맥이 탁 풀려버리거든요.

이러한 태도를 압축해서 표현하자면 목적/수단의 전도상태라고 할 수 있어요. 학위를 얻는 건 진리탐구를 위한 수단일 뿐이어야하는데, 역으로 학위를 목표로 진리탐구를 수단삼고 있는 셈이니 이거 단단히 잘못된 거예요.



2.

박대통령에게서도 비슷한 모습을 볼 수 있어요. 대통령이 되어서 이러이러한 저러저러한 걸 하겠다라는 목적의식이 없거나, 혹은 희박해요. "대통령이 되고야 말겠다"라는 그 일념이 굉장했던 것과 좋은 대조를 이루지요. 어떤 걸인의 "은전 한 닢" 같달까요. 골룸의 "절대반지" 같달까요. 그걸 얻는 게 중요할 뿐 얻고 나서 그걸로 뭘 어떻게 할 지에 대해선 깜깜한 거예요.

목적과 수단이 도치된 이들이 이렇게 목적화된 수단(당선/학위취득)을 달성해버리면, 제가 그랬 듯, 일종의 공황 상태에 빠져요. 대통령 당선/학위 취득 등을 정점으로 대단원의 막이 내려가고 극이 끝나야 하는데, 다시 막이 올라가더니 액트 5(Act 5)가 시작되버린 거예요. 배우 입장에선 속이 콱 막히지요. "액트4로 끝나는 거 아니었어? 이거 왜이래? 대본도 본 적 없는데 갑자기 5장을 하라고?"

우리가 동화 속의 "...그래서 행복하게 살았답니다" 이후를 상상하지도 않고, 상상하기도 어렵 듯, 박대통령은 대통령이 된 후의 삶이 암전 속에서 여기저기 손으로 더듬는 것처럼 답답했을 거예요. 마치 엔딩을 봤는데도 끝나야할 게임이 끝나지 않아서 캐릭터를 이리저리 움직여보고 점프도 해보고 칼질도 해보며 방황하는 게이머들처럼요.



3.

대본도 대사도 없는 즉흥극을 해야하는 주연 배우는 심박수가 빨라지고 동공이 커져요.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데 사람들은 모두 자기만 쳐다보고 있으니까요. 이런 배우에게 무대 앞에서 누군가가 스케치북으로 대사 비스끄무레한 걸 적어서 들어보여주면 숙고할 여지 없이 읽어버리게 마련이지요. 대사 없이 닥치고 서있는 것보단, 정체 불명의 누군가가 적어준 뭐라도 읽는 게 마음이 훨씬 편하거든요. 하물며 그 사람이 정체 불명의 괴인이 아니라 자신의 평생 지기(知己)일 경우에야!

마찬가지로 이런 상황에서 다른 배우가 무대 위로 올라와서 즉흥적으로 상황을 만들고 대사를 치고 플롯을 이끌어가면 또 얼마나 고맙겠어요. 자신이 하이라이트를 독점하고 있을 때보다 누군가가 그 하이라이트를 조금이라도 가져갔을 때, 설령 그게 결과적으로 주연 고유의 권한을 빼앗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고 할지라도, 조금 더 안도하게 될 거예요.

박대통령은 대통령 당선으로 인해 생긴 거대한 권력을 어떻게 써야겠다는 이념도 계획도 희박했기 때문에, 옆에서 이 권력을 다른 누군가가 이렇게 저렇게 대신 써주는 상황에 안도했던 걸지도 몰라요. 자기는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는데 옆에서 우병우가, 최순실이, 정호성이, 안종범이, 안봉근이, 이재만이 슥삭슥삭 능숙하게 권력을 행사해주니 얼마나 갸륵했겠어요. 충신이라고 생각했을 거예요.



4.

이런 식으로 생각의 타래를 이어가다보니 초점이 다시 제 자신에게로 돌아오네요. 목적과 수단의 꼬인 관계를 풀지 않으면 학위과정을 제대로 마치기 어려울 테니, 저로서는 어떻게든 이 관계를 풀어야 해요. 이럴 때 가장 요긴한 건 역시 스스로에게 솔직해지는 거예요. 내가 진짜로 원하는 게 뭐였는지를 계속해서 자문함으로써 마음 속 껍질 깊숙히 포장되어있는 속내를 찾아내야 해요. 그렇게 찾아낸 골룸 같은 속내를 대명천지에 꺼내 놓고, 그 속물됨을 인정하고, 용서하고, 마지막으로 꼭 껴안고 화해할 때라야 지금의 교착 상태를 돌파할 동력을 얻을 수 있을 거예요. 프로도가 골룸을 용서했던 것처럼요.

표면화된 의지표명부터 이면의 숨은 동기까지 고속도로를 놓아 투명하게 표리를 일치시키는 것, 그 일관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을 주희(朱熹, 1130-1200)는 성의(誠意: 의도를 참되이 하다/참된 의도)라고 했어요. 어려워 보이지요? 이거 쉽지 않아요. 아픈 자기반성은 물론 그 반성의 결과물을 남에게 보여줄 용기도 필요해요. 박대통령이 성의(誠意)껏 입장표명을 할 용기가 있을지 없을지 모르겠고, 그저 저라도 잘 해야겠다고 다짐할 뿐이에요.



10
  • 추우처언


레지엔
가치전도 현상이 발생하는 가장 큰 요인은 실물 레벨에서의 압박이 가시적일 때라고 하죠...
기아트윈스
좋은 포인트예요. 누가 농담으로 철학사를 정리하길,

BCE 300 - 어떻게 운동이 가능한가?
800 - 어떻게 신은 전지(全知)한가?
1600 - 어떻게 우리는 무언가를 알 수 있는가?
2016 - 어떻게 펀딩을 받지?
April_fool
하지만 인간의 현실은… 적어도 겉으로 드러나는 일관성이라도 유지하는 것조차 얼마나 힘든가요.
기아트윈스
강한 의지와 심력이 필요해요. 그쵸.
Ben사랑
"그러니까 제가 대통령 되겠다는 것 아니겠어요"
일단 대통령 되고나서 뭘 생각해보겠다는.. 참으로 유치원생이나 할 법한 생각이었죠.
기아트윈스
이제사 다시 생각해보면 그 발언 자체가 수단/목적의 전도를 잘 보여주는 증언이 아닌가 싶어요. 수준의 고저를 떠나서 "되겠다는..."에서 벌써 근본적으로 무언가 잘못 돌아가고 있다는 게 느껴져요.
추천합니다
기아트윈스
황송합니다
매일이수수께끼상자
대학 입시 자체가 목표였고...
그래서 입학 하자마자 모든 목적을 잃고.... F 학점과 전과만 가득했던 20대가 생각나는 글이군요.
아파서 추우처언.ㅜㅜ
기아트윈스
그 기분 압니다 ㅜㅜ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889 꿀팁/강좌[사진]판형에 대해 알아봅시다. 30 사슴도치 17/02/16 9248 10
8850 도서/문학그들의 첫 번째와 두 번째 고양이 알료사 19/02/10 4135 10
4823 여행무계획 기행문 10 전기장판 17/02/09 4761 10
4689 육아/가정우리 아들의 신박한 표현들 29 Toby 17/01/25 6095 10
4627 일상/생각바람 부는 위병소 (완) 10 우웩 17/01/15 4324 10
4572 IT/컴퓨터[소개] Swift Calcs - 최고의 온라인 계산기 8 April_fool 17/01/08 8616 10
4498 일상/생각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고맙습니다. 15 진준 16/12/31 3727 10
8857 스포츠고지라를 쓰러뜨릴 수 없다면 도망쳐라 10 温泉卵 19/02/12 4559 10
6063 역사삼국통일전쟁 - 8. 황제의 꿈, 대왕의 꿈 7 눈시 17/08/05 4872 10
5739 게임(스타1)Elo 레이팅, 선수들의 실력, 맵 밸런스 19 스카이저그 17/06/03 15338 10
4293 기타장미 세 송이 68 민달팽이 16/12/04 5080 10
4286 도서/문학ISBN 이야기(2) 17 나쁜피 16/12/03 5127 10
4197 정치동교동계. 부끄러운줄 알라. 6 Bergy10 16/11/20 4398 10
4115 정치시국 단상: 박대통령과 골룸 10 기아트윈스 16/11/08 3917 10
3995 육아/가정둘째 생겼어요~ 22 도라에몽 16/10/24 5534 10
8872 스포츠[사이클] 랜스 암스트롱 (2) - 뚜르 드 프랑스 산업 2 AGuyWithGlasses 19/02/17 5172 10
7197 영화셰이프 오브 워터와 짧은 생각들(스포일러) 12 코리몬테아스 18/03/06 5565 10
3750 과학/기술양자역학 의식의 흐름: 월급 D 루팡 29 Event Horizon 16/09/22 5699 10
3675 일상/생각하나님 한 번만 더 할아버지와 대화하게 해주세요. 7 Terminus Vagus 16/09/09 4573 10
8880 스포츠[사이클] 랜스 암스트롱 (4) - 역관광의 시작 7 AGuyWithGlasses 19/02/18 5954 10
3440 정치정말 젊은 여성들은 정치/사회에 관심이 없을까? 20 DoubleYellowDot 16/08/03 6692 10
3413 일상/생각인그룹 아웃그룹 4 까페레인 16/08/01 4018 10
9030 게임너 정말 나쁜아이구나. 26 사나남편 19/04/03 7350 10
9028 의료/건강의사는 어떻게 사고하는가 - 2. 진단=사후확률Up & 진단의 두 축 6 세란마구리 19/04/03 4500 10
3319 IT/컴퓨터어느 게임 회사 이야기 (9) 23 NULLPointer 16/07/21 16095 1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