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11/08 20:17:18
Name   기아트윈스
Subject   시국 단상: 박대통령과 골룸
1.

유학와서 놀랐던 것 중 하나는 공부에 대한 영국 학생들의 태도가 저와 사뭇 다르다는 거였어요. 전 그저 좋은 학교로, 더 높은 단계로 가기 위해 아득바득 기어올라가고 있는데 얘들은 그 옆에서 팔자 좋게 [...란 무엇일까] 같은 열라 추상적이고 학구적인 문제의식을 하나씩 품고 해답을 얻기 위해 책을 뒤지고 있더라구요. 연구능력 자체는 빡세게 굴러온 제가 좀 더 높을지 모르지만 태도만 놓고 보면 그들은 도인이요 저는 속물 같았어요.

연구를 통한 진리탐구 자체가 목표가 아니라 그저 위로 올라가는 게 목표였기에, 저는 한 단계가 끝나면 풀썩 주저앉아 버리고 말아요. 일단 올라가고 나면 목표를 달성했다는 느낌에 맥이 탁 풀려버리거든요.

이러한 태도를 압축해서 표현하자면 목적/수단의 전도상태라고 할 수 있어요. 학위를 얻는 건 진리탐구를 위한 수단일 뿐이어야하는데, 역으로 학위를 목표로 진리탐구를 수단삼고 있는 셈이니 이거 단단히 잘못된 거예요.



2.

박대통령에게서도 비슷한 모습을 볼 수 있어요. 대통령이 되어서 이러이러한 저러저러한 걸 하겠다라는 목적의식이 없거나, 혹은 희박해요. "대통령이 되고야 말겠다"라는 그 일념이 굉장했던 것과 좋은 대조를 이루지요. 어떤 걸인의 "은전 한 닢" 같달까요. 골룸의 "절대반지" 같달까요. 그걸 얻는 게 중요할 뿐 얻고 나서 그걸로 뭘 어떻게 할 지에 대해선 깜깜한 거예요.

목적과 수단이 도치된 이들이 이렇게 목적화된 수단(당선/학위취득)을 달성해버리면, 제가 그랬 듯, 일종의 공황 상태에 빠져요. 대통령 당선/학위 취득 등을 정점으로 대단원의 막이 내려가고 극이 끝나야 하는데, 다시 막이 올라가더니 액트 5(Act 5)가 시작되버린 거예요. 배우 입장에선 속이 콱 막히지요. "액트4로 끝나는 거 아니었어? 이거 왜이래? 대본도 본 적 없는데 갑자기 5장을 하라고?"

우리가 동화 속의 "...그래서 행복하게 살았답니다" 이후를 상상하지도 않고, 상상하기도 어렵 듯, 박대통령은 대통령이 된 후의 삶이 암전 속에서 여기저기 손으로 더듬는 것처럼 답답했을 거예요. 마치 엔딩을 봤는데도 끝나야할 게임이 끝나지 않아서 캐릭터를 이리저리 움직여보고 점프도 해보고 칼질도 해보며 방황하는 게이머들처럼요.



3.

대본도 대사도 없는 즉흥극을 해야하는 주연 배우는 심박수가 빨라지고 동공이 커져요.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데 사람들은 모두 자기만 쳐다보고 있으니까요. 이런 배우에게 무대 앞에서 누군가가 스케치북으로 대사 비스끄무레한 걸 적어서 들어보여주면 숙고할 여지 없이 읽어버리게 마련이지요. 대사 없이 닥치고 서있는 것보단, 정체 불명의 누군가가 적어준 뭐라도 읽는 게 마음이 훨씬 편하거든요. 하물며 그 사람이 정체 불명의 괴인이 아니라 자신의 평생 지기(知己)일 경우에야!

마찬가지로 이런 상황에서 다른 배우가 무대 위로 올라와서 즉흥적으로 상황을 만들고 대사를 치고 플롯을 이끌어가면 또 얼마나 고맙겠어요. 자신이 하이라이트를 독점하고 있을 때보다 누군가가 그 하이라이트를 조금이라도 가져갔을 때, 설령 그게 결과적으로 주연 고유의 권한을 빼앗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고 할지라도, 조금 더 안도하게 될 거예요.

박대통령은 대통령 당선으로 인해 생긴 거대한 권력을 어떻게 써야겠다는 이념도 계획도 희박했기 때문에, 옆에서 이 권력을 다른 누군가가 이렇게 저렇게 대신 써주는 상황에 안도했던 걸지도 몰라요. 자기는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는데 옆에서 우병우가, 최순실이, 정호성이, 안종범이, 안봉근이, 이재만이 슥삭슥삭 능숙하게 권력을 행사해주니 얼마나 갸륵했겠어요. 충신이라고 생각했을 거예요.



4.

이런 식으로 생각의 타래를 이어가다보니 초점이 다시 제 자신에게로 돌아오네요. 목적과 수단의 꼬인 관계를 풀지 않으면 학위과정을 제대로 마치기 어려울 테니, 저로서는 어떻게든 이 관계를 풀어야 해요. 이럴 때 가장 요긴한 건 역시 스스로에게 솔직해지는 거예요. 내가 진짜로 원하는 게 뭐였는지를 계속해서 자문함으로써 마음 속 껍질 깊숙히 포장되어있는 속내를 찾아내야 해요. 그렇게 찾아낸 골룸 같은 속내를 대명천지에 꺼내 놓고, 그 속물됨을 인정하고, 용서하고, 마지막으로 꼭 껴안고 화해할 때라야 지금의 교착 상태를 돌파할 동력을 얻을 수 있을 거예요. 프로도가 골룸을 용서했던 것처럼요.

표면화된 의지표명부터 이면의 숨은 동기까지 고속도로를 놓아 투명하게 표리를 일치시키는 것, 그 일관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을 주희(朱熹, 1130-1200)는 성의(誠意: 의도를 참되이 하다/참된 의도)라고 했어요. 어려워 보이지요? 이거 쉽지 않아요. 아픈 자기반성은 물론 그 반성의 결과물을 남에게 보여줄 용기도 필요해요. 박대통령이 성의(誠意)껏 입장표명을 할 용기가 있을지 없을지 모르겠고, 그저 저라도 잘 해야겠다고 다짐할 뿐이에요.



10
  • 추우처언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480 철학/종교산타가 없다는 걸 언제쯤 아셨어요? 42 기아트윈스 16/12/30 4853 8
4347 일상/생각면접으로 학부신입생 뽑은 이야기 45 기아트윈스 16/12/10 4755 17
8855 사회북한은 어떻게 될까 - 어느 영국인의 관점 83 기아트윈스 19/02/12 7653 77
4243 역사몽골제국은 왜 헝가리에서 후퇴했을까 16 기아트윈스 16/11/27 5770 13
4167 기타서원(書院)에서 한문 배운 썰 (외전): 지록위마 (指鹿爲馬) 26 기아트윈스 16/11/16 3666 0
4152 창작[한단설] 아브라함과 이삭 15 기아트윈스 16/11/14 3884 5
4115 정치시국 단상: 박대통령과 골룸 10 기아트윈스 16/11/08 3915 10
4100 방송/연예오늘 밤, 지구별 2(Planet Earth 2)가 발표됩니다. 19 기아트윈스 16/11/06 5615 0
4043 육아/가정만 4세, 실존적 위기에 봉착하다. 54 기아트윈스 16/10/31 6168 21
3936 일상/생각달팽이 20 기아트윈스 16/10/17 4743 4
3876 일상/생각전직 호주 총리 만난 썰 40 기아트윈스 16/10/12 4640 8
3873 일상/생각인종차별에 관한 기사 하나. 24 기아트윈스 16/10/11 4037 2
3837 일상/생각[펌] 시대로부터 밀려나는 것에 대한 두려움 45 기아트윈스 16/10/06 4279 12
3833 일상/생각분사난(忿思難) 8 기아트윈스 16/10/05 4105 1
3823 일상/생각사..좋아하는 인물에 대해 말해봅시다. 50 기아트윈스 16/10/04 4303 0
3784 도서/문학채식주의자(The Vegetarian) 번역자 데보라 스미스씨 만난 썰 39 기아트윈스 16/09/27 7177 7
3761 도서/문학책읽기에 관한 생각 하나. 28 기아트윈스 16/09/24 6534 3
3702 기타서원(書院)에서 한문 배운 썰 (4): 버츄얼 파이터 사건 14 기아트윈스 16/09/14 3855 4
3706 기타서원(書院)에서 한문 배운 썰 (끗): 에필로그 23 기아트윈스 16/09/14 4690 12
3694 기타서원(書院)에서 한문 배운 썰 (3): 구밀복검(口蜜腹劍) 30 기아트윈스 16/09/13 4076 5
3689 기타서원(書院)에서 한문 배운 썰 (2): 디제이디제이 드랍 더 비트 30 기아트윈스 16/09/12 5492 11
3683 기타서원(書院)에서 한문 배운 썰 19 기아트윈스 16/09/11 4619 8
3642 철학/종교손오공과 프로도 배긴스 31 기아트윈스 16/09/04 6647 17
3512 일상/생각반사 21 기아트윈스 16/08/14 4021 6
3439 일상/생각랩탑 수리 완료에 즈음하여 39 기아트윈스 16/08/03 4144 9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