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04/02 14:06:02
Name   Zel
Subject   프로듀스 101이 끝났습니다. 기타 잡설들과 개인적 포인트.
요즘 제 생활의 페이스메이커를 해 주고 딸과 소통의 창구였던 프로듀스 101이 끝났습니다. 2월에 미국에 와서 문화충격에 시달리고 있던 와중에 프로듀스 언니들이 큰 힘이 되었던 여섯살 다섯살 꼬마들이었죠.
한혜리 연습생이 12등으로 떨어지고 큰애는 울음을 참지를 못하고 정말 서럽게 울더군요. 덕택에 마누라한테 욕 제대로 먹었습니다만.. 제 딸이 최애로 밀던 캐릭터라 여기서도 매일 엄마 아이디로 투표를 하고 있다 보니.. 거의 인생에서 처음 '응원'이란걸 해보고 그 꿈이 좌절된게 맘이 아팠나 봅니다. 원년부터 삼성라이온스 팬인 아빠는 8,90년대에 많이 경험했었는데.. 여튼.

오늘 살아 남은 연습생들의 인터뷰 중에 유독 제 귀에 들어오는 말이 있더군요. 전소미도 그랬고 '이 프로그램을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라는 언급을 여러 연습생이 하더군요. 수많은 오디션 프로그램을 봤었습니다만 처음 들은 이야기라 약간 신선했는데.. 아마 '연습생'이라는 독특한 포지션들의 꿈을 바로 실현시켜 주는 프로그램이라서 저런 표현이 나왔겠죠. 그런데 과연 떨어진 연습생도 그렇게 생각을 할까? 라는 생각이 잠시 들다가도 뭐 그렇겠지 라고 수긍하게 되었습니다.
돌이켜 보면 이런 좀 오버한 느낌의 https://new.redtea.kr/?b=3&n=2218&c=31228 댓글을 달았었는데 이런 큰 판을 엠넷이 그렸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실현될 것 같기도 합니다. 물론 시즌 2,3가 계속 성공하란 법은 없겠고, 이미 이 프로듀스101이 상수가 되면 거기에 대항하는 기획사들의 준비가 또 달라지겠죠. 이번에 참여한 기획사들의 경제효과가 얼마일까를 생각해보면 계산도 안나옵니다. 판타지오는 주식만 50% 올랐던데.. MLB가 1WAR당 몇 밀리언$인지 계산이 나오는거 처럼 아이돌도 팬카페 인원숫자가 몇십억짜린지 아마 답을 낼 수도 있을겁니다. 멤버가 아닌 회사 브랜드 상승의 이득은 복리 이자고요.

전 TV를 잘 보지 않지만 오디션 프로그램은 좋아해서 슈스케 시절부터 꽤나 챙겨봤습니다. 위탄이 개망해가는 모습도 보고, 어설프지만 나름 훈훈했던 탑밴드가, 2에서 어떻게 망가지는지도 지켜봤었죠. 그러다 보니 엠넷을 위시한 방송사들의 갑질 내지 악마의 편집 등등에 좀 너그러운 잣대를 가지게 하게 된다고나 할까요. 예능 프로그램의 첫번째 명제는 재미이고, 아무도 안보는 예능은 그 자체가 죄악이라고 생각하는 입장이라 이 사람들의 만듬새에 인정을 해주고 보는 편입니다. 물론 아예 대놓고 없는 사실 만들거나 인신공격성 까지 가서는 안되겠지만, 매스컴의 본질이란게 기자와 인터뷰 한번만 해봐도 어떻게 난도질 당하는 질 경험해봤다면 오히려 예능 피디들이 양반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면에서 전 특히 엠넷발의 '불공정성' 에 대해서 너그럽습니다. 돌이켜 보면 그렇게 기대를 모으고 '별들의 전쟁'이라던 탑밴드 2가 망가진 가장 큰 이유가 바로 '방송분량의 공정성'에 발목 잡혀서 루즈-루즈 게임을 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소위 말하는 '쩌는' 밴드들 불러놓고 왜 쩌는 지를 제대로 보여 줄 역량이 안되고 심사위원들에게 휘둘리던 PD는 예능 피디로선 최악이었죠. 또 한가지는 '성장'이라는 서사에 대한 불감증였고.. 그런 면에서 오늘까지도 '공정성'따위는 개나 줘버리고 편파적으로 알아서 편집방송을 하는 엠넷이 전 안미워 보였습니다. 네. 연습생들에게 그렇게 깊이 감정이입이 안되서겠지요.

근데 뭐 저같은 아재가 아니라, 세상의 부조리함과 공평함을 최소한 TV에서는 반복되지 않아야 한다고 믿는 많은 분들에겐 불편한 것 같습니다. 특히 엠넷의 딸이라 불리우던 모 연습생때문에 비난이 많더군요. 하지만 이건 정말 익스큐스 된거 아닙니까? 왜 까인지도 모르던 김그림부터 시작해서 예리밴드.. 가까이는 블랙넛-송민호 등등 메인탱커 만들어 놓고 어그로 끄는 편집은 mmorpg의 고전적 탱딜힐 트리니티 구조가 생각날 정도로 전형적입니다. 예, 다 제가 늙었고 기성세대라 보니 이렇게 무딘거 같기도 합니다. 현실에 찾을 수 없는 공정함이란걸 TV에서만이라도 보고 싶어서 그렇게 많은 막장 드라마에서 정의구현 하는걸 보면서 마음의 위안을 얻는 사람들을 조롱할 생각은 전혀 없습니다만. '살아남은자가 강한자'라는 시쳇말-이야 말로 기성세대를 위한 말이죠 -이 딱 들어 맞는 프로그램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이제 쇼미더머니 할때 까지 티비를 다시 볼 일은 없겠네요.



0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367 사회빌게이츠의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NEJM 기고문 (시론) 15 Zel 20/03/11 5288 13
    9252 의료/건강저희는 언제 새로운 시작을 할 수 있을까요.. 18 Zel 19/05/30 7170 66
    8033 의료/건강제 2차 국공합작은 가능할것인가?: 원격진료 및 의료서비스발전법 논란 4 Zel 18/08/10 4646 3
    7788 의료/건강리피오돌 사태는 어디로 가는가 35 Zel 18/07/04 5663 10
    7741 의료/건강전공의 특별법의 이면 21 Zel 18/06/24 6050 7
    7820 의료/건강고혈압약의 사태 추이와 성분명 처방의 미래 28 Zel 18/07/10 5211 20
    6301 방송/연예소사이어티 게임 2 초중반 소감 15 Zel 17/09/17 5428 1
    6152 의료/건강[kormedi] 문재인의 식약처, 트럼프의 FDA 10 Zel 17/08/23 5524 7
    6088 기타[메디게이트뉴스] 대학병원 교수가 본 비급여대책 59 Zel 17/08/10 6788 4
    5946 방송/연예엠넷아 너무 나갔다: 아이돌학교 26 Zel 17/07/14 5485 3
    5892 의료/건강병문안 문화 개선, 가능한 일일까? 33 Zel 17/07/05 6675 0
    5772 일상/생각음주운전에 관한 잡생각 47 Zel 17/06/11 5777 2
    5638 IT/컴퓨터컴퓨터 바이러스에 대한 추억 19 Zel 17/05/15 4708 5
    5427 일상/생각티타임용 잘난척 27 Zel 17/04/12 4168 4
    6324 의료/건강의료기관 잠복결핵에 대한 추가 기사 30 Zel 17/09/23 5228 2
    5188 일상/생각치킨값에 대한 단상.. 75 Zel 17/03/14 5178 10
    4121 일상/생각퀴블러 로스의 '죽음의 5단계'와 사람들 바라보기. 8 Zel 16/11/10 5288 5
    3572 일상/생각알던 사람들에 대한 단상 25 Zel 16/08/24 5159 1
    9004 의료/건강AI와 영상의학의 미래는? 32 Zel 19/03/27 7262 28
    3257 게임포알못의 포켓몬 고 2일차 소감. 9 Zel 16/07/13 4637 12
    3094 일상/생각의사 '선생님' 이란 용어는 적절한가? 69 Zel 16/06/22 7962 0
    2658 일상/생각제가 경험한 미국 행정 이야기. 28 Zel 16/04/21 5666 0
    2526 방송/연예프로듀스 101이 끝났습니다. 기타 잡설들과 개인적 포인트. 3 Zel 16/04/02 4667 0
    2081 일상/생각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34 Zel 16/01/21 4296 0
    1893 의료/건강죽지않는 과학적 미신들 22 Zel 15/12/30 7441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