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12/14 19:39:14
Name   마르코폴로
Subject   <진술> - 하일지


‘내가 체포되어 경찰에 끌려오다니, 정말이지 내 생애에 이런 일이 있으리라고는 꿈에도 상상하지 못했소.'

첫 구절부터 예사롭지 않은 이 소설은 살인 용의자로 체포된 일인칭 화자 '나'의 하룻밤 진술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아내와 함께 여행 온 한 도시에서 살인 혐의로 체포된 남자가 그 자신의 결백을 증명하기 위해 진술하는 형식의 이야기죠.

여기서 자신의 결백을 주장하는 ‘나’의 진술을 시간상으로 살펴보면 국악고등학교의 선생으로 재직하던 시절, 당시 학생이었던 아내를 만나 아내 집안의 반대를 무릅쓰고 그녀가 결혼했다는 이야기로 시작합니다. 처음에는 극심한 반대 의사를 보이던 장인과 처남은 결국 어쩔 수 없이 아내와 자신의 관계를 인정하게 되죠. 그 후 아내와 ‘나’는 나의 학업 때문에 외국에서 생활하게 되고,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긴 했으나 무사히 귀국하여 ‘나’는 교수직에 임용됩니다. 부부는 아이가 없다는 걱정이 있긴 하지만 10년간 변함없이 사랑하고 있고, 최근엔 기다리던 아내의 임신 소식까지 듣게 되면서 더욱 행복하게 생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결혼 10주년 기념으로 여행을 왔던 차에, 처남의 살인사건이 발생하고 그 살인사건의 용의자로 ‘나’가 지목되면서 알 수 없는 장소로 끌려오게 된 것이죠.

중요한 점은 이것이 소설 속에서 오롯이  ‘나’가 진술한 이야기라는 것입니다. (작품 속에서 ‘나’는 대학교수이자 철학박사인데, 그 신분으로 인한 권위가 일정 정도 진술의 신뢰성을 높입니다.)

그러나 ‘나’를 추궁하는 측의 심문이 진행될수록 ‘나’의 진술은 점점 믿을 수 없는 것으로 밝혀집니다. ‘나’는 전처와 아직 이혼하지 못했고, 이런 상황에 따른 장인에 반대로 아내와 정식으로 결혼을 하지 못한 상태입니다. ‘나’는 “사실을 고백하자면 지금까지 내가 한 진술은 모두 거짓이었습니다”라는 말로 자신의 거짓 진술을 인정합니다. 또한 아내(전처가 아닌)가 사망 처리된 호적 등본과 같은 명백한 물증을 들이밀어도 그러한 상황을 부정하는 ‘나’의 태도에 ‘나’의 진술뿐만이 아니라 ‘나’라는 화자 자체에 대한 의심마저 생겨납니다. 이런 일련의 과정들을 통해 화자 ‘나’의 진술은 서사적 권위를 상실합니다. 그리고 화자의 진술이 권위를 상실하면서 이제 독자는 드러난 화자가 아닌 텍스트 속에 위치한 내포저자의 의도를 알아내고 추리해야 합니다.

거짓과 진실이 뒤섞인 진술은 소설의 말미에 가서야 ‘나’가 아내의 죽음을 부정하는 정신적 착란 상태에 있음이 밝혀집니다. 진술 중 ‘나’가 사랑에 대해 정의했듯이 사랑을 어떤 대상에 대한 과장된 심리의 지속이라고 인정한다면, ‘나’는 과장된 심리의 지속 상태 속에서 오랜 시간 동안 깨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지요. 아니, 그것으로부터 깨어나기를 거부하고 있다는 것이 더 적확한 표현인 것 같습니다.

그는 8년 전에 일어난 어린 아내의 죽음을 몹쓸 악몽을 꾸었다고 인식하며 살아왔습니다. 그래서 빠져나가고 싶지 않은 그 미몽 속에서 끊임없이 아내의 죽음을 언급하며 자신을 치료하고자 하는 손위 처남인 정신병원 원장을 허상으로 치부합니다. 상상과 실재가 뒤섞여 그의 병을 치료하려 하는 현실의 처남을 허상으로, 그들 부부와 함께 행복한 시간을 보내는 환상 속의 처남을 실재로서 받아들이게 됩니다. 그 결과 자신과 아내의 행복을 위협하는 허상 속 처남을 없애려 마음먹게 되고, 처남의 사무실에서 그를 흉기로 때려죽이는 끔찍한 사건을 벌이게 된 것입니다. 그러니 그가 진술 과정에서 살인을 부정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소설 속 ‘나’는 자신의 행복을 방해하는 허상을 제거했을 뿐이니까요. ‘나’에게는 실제로 일어난 일이 아니기에 하늘에 맹세코 자신은 살인을 저지르지 않았다고 주장할 수 있는 것이지요. 그렇게 ‘나’는 자신이 만든 환상 속에 영원히 머물러 있습니다.

소설 속의 ‘나’는 대면하고 싶지 않은 현실을 환상을 통해 대체합니다. 그것은 자신의 존재 이유였던 아내의 죽음을 부정하기 위해 스스로의 이성을 죽이는 애처로운 몸부림입니다. 깊은 절망의 밑바닥에서 인간이란 부조리하고, 이성은 나약합니다. 대학교수이자 철학박사인 ‘나’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소설의 마지막까지 아내와 함께 환상 속에서 살아가기를 택하는 ‘나’의 모습을 통해 저자는 독자에게 묻고 있습니다. 인간의 이성은 믿을만한가? 살인자가 된 ‘나’를 보며 혐오와 분노가 아니라 끝없는 슬픔과 연민을 느낄 수 밖에 없는 까닭은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이 긍정적이지 않기 때문이겠죠.  



















2
  • 무슨 말이 필요합니까? 하일지인데!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63 요리/음식애들이 무스비 김밥 진짜 좋아하네요 12 종이컵 15/10/15 9096 0
1547 일상/생각오디오북과 셀프티칭 28 뤼야 15/11/13 9092 3
349 기타신경숙 작가 표절 부인 21 레지엔 15/06/17 9091 0
3727 여행베트남 하노이/하롱베이 여행기 13 pinetree 16/09/19 9090 2
1250 역사사도 - 그 때 그 날, 임오화변 16 눈시 15/10/14 9081 8
203 기타한국이 기록적인 속도로 메르스 감염자를 늘리고 있습니다 31 Leeka 15/06/04 9076 0
1768 도서/문학<진술> - 하일지 40 마르코폴로 15/12/14 9071 2
472 정치Love Wins - 2015 퀴어 퍼레이드 후기 4 王天君 15/06/30 9071 0
10 기타가입했습니다!! 이럴때 아니면 가입 인사도 못쓰겠죠! 6 쉬군 15/05/29 9070 2
11127 IT/컴퓨터윈도우10 대기 상태에서 깨어날 때 창 위치, 크기가 변화는 경우 7 다군 20/11/13 9067 3
517 음악배신의 대가는 별점 하나지... 17 Neandertal 15/07/05 9067 0
3909 일상/생각오늘은 금요일, 퇴근 시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5 AI홍차봇 16/10/14 9065 0
336 기타와이프의 건강이 좋지 않습니다. 57 세인트 15/06/15 9064 0
164 기타홍차.크르에 음악가 분 있으면 손들어주세요.... 62 표절작곡가 15/06/01 9060 0
62 기타일본서 가입및 인증 올려봅니다 9 Leeka 15/05/30 9056 1
1226 문화/예술새벽 3시에는 역시 우울한 노래죠. 12 Lionel Messi 15/10/11 9051 1
502 과학/기술김박사, 명왕성의 저 점들은 뭐지?... 8 Neandertal 15/07/03 9042 0
152 기타안녕하세요~^^ 6 삼성그룹 15/06/01 9039 0
48 기타(데이터 주의) 간지남 6 인간흑인대머리남캐 15/05/30 9039 2
370 과학/기술혜성탐사로봇 '필레'가 일어났습니다 15 눈시 15/06/20 9027 0
315 기타저딴 것도 교수인가 - 홍익대 기말고사 사건 28 바코드 15/06/12 9019 0
9590 게임와우 클래식을 앞두고 흑역사 고백. 16 세인트 19/08/27 9007 8
417 기타드라마 신분을 숨겨라 비추합니다. 21 박초롱 15/06/24 9007 0
3296 정치메갈/일베 등의 옹호 발언을 이유로 하는 징계해고가 가능한가 60 당근매니아 16/07/20 9004 2
493 문화/예술처음 써보는 2분기 애니 이야기 12 술먹으면동네개 15/07/02 9002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