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12/14 19:39:14
Name   마르코폴로
Subject   <진술> - 하일지


‘내가 체포되어 경찰에 끌려오다니, 정말이지 내 생애에 이런 일이 있으리라고는 꿈에도 상상하지 못했소.'

첫 구절부터 예사롭지 않은 이 소설은 살인 용의자로 체포된 일인칭 화자 '나'의 하룻밤 진술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아내와 함께 여행 온 한 도시에서 살인 혐의로 체포된 남자가 그 자신의 결백을 증명하기 위해 진술하는 형식의 이야기죠.

여기서 자신의 결백을 주장하는 ‘나’의 진술을 시간상으로 살펴보면 국악고등학교의 선생으로 재직하던 시절, 당시 학생이었던 아내를 만나 아내 집안의 반대를 무릅쓰고 그녀가 결혼했다는 이야기로 시작합니다. 처음에는 극심한 반대 의사를 보이던 장인과 처남은 결국 어쩔 수 없이 아내와 자신의 관계를 인정하게 되죠. 그 후 아내와 ‘나’는 나의 학업 때문에 외국에서 생활하게 되고,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긴 했으나 무사히 귀국하여 ‘나’는 교수직에 임용됩니다. 부부는 아이가 없다는 걱정이 있긴 하지만 10년간 변함없이 사랑하고 있고, 최근엔 기다리던 아내의 임신 소식까지 듣게 되면서 더욱 행복하게 생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결혼 10주년 기념으로 여행을 왔던 차에, 처남의 살인사건이 발생하고 그 살인사건의 용의자로 ‘나’가 지목되면서 알 수 없는 장소로 끌려오게 된 것이죠.

중요한 점은 이것이 소설 속에서 오롯이  ‘나’가 진술한 이야기라는 것입니다. (작품 속에서 ‘나’는 대학교수이자 철학박사인데, 그 신분으로 인한 권위가 일정 정도 진술의 신뢰성을 높입니다.)

그러나 ‘나’를 추궁하는 측의 심문이 진행될수록 ‘나’의 진술은 점점 믿을 수 없는 것으로 밝혀집니다. ‘나’는 전처와 아직 이혼하지 못했고, 이런 상황에 따른 장인에 반대로 아내와 정식으로 결혼을 하지 못한 상태입니다. ‘나’는 “사실을 고백하자면 지금까지 내가 한 진술은 모두 거짓이었습니다”라는 말로 자신의 거짓 진술을 인정합니다. 또한 아내(전처가 아닌)가 사망 처리된 호적 등본과 같은 명백한 물증을 들이밀어도 그러한 상황을 부정하는 ‘나’의 태도에 ‘나’의 진술뿐만이 아니라 ‘나’라는 화자 자체에 대한 의심마저 생겨납니다. 이런 일련의 과정들을 통해 화자 ‘나’의 진술은 서사적 권위를 상실합니다. 그리고 화자의 진술이 권위를 상실하면서 이제 독자는 드러난 화자가 아닌 텍스트 속에 위치한 내포저자의 의도를 알아내고 추리해야 합니다.

거짓과 진실이 뒤섞인 진술은 소설의 말미에 가서야 ‘나’가 아내의 죽음을 부정하는 정신적 착란 상태에 있음이 밝혀집니다. 진술 중 ‘나’가 사랑에 대해 정의했듯이 사랑을 어떤 대상에 대한 과장된 심리의 지속이라고 인정한다면, ‘나’는 과장된 심리의 지속 상태 속에서 오랜 시간 동안 깨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지요. 아니, 그것으로부터 깨어나기를 거부하고 있다는 것이 더 적확한 표현인 것 같습니다.

그는 8년 전에 일어난 어린 아내의 죽음을 몹쓸 악몽을 꾸었다고 인식하며 살아왔습니다. 그래서 빠져나가고 싶지 않은 그 미몽 속에서 끊임없이 아내의 죽음을 언급하며 자신을 치료하고자 하는 손위 처남인 정신병원 원장을 허상으로 치부합니다. 상상과 실재가 뒤섞여 그의 병을 치료하려 하는 현실의 처남을 허상으로, 그들 부부와 함께 행복한 시간을 보내는 환상 속의 처남을 실재로서 받아들이게 됩니다. 그 결과 자신과 아내의 행복을 위협하는 허상 속 처남을 없애려 마음먹게 되고, 처남의 사무실에서 그를 흉기로 때려죽이는 끔찍한 사건을 벌이게 된 것입니다. 그러니 그가 진술 과정에서 살인을 부정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소설 속 ‘나’는 자신의 행복을 방해하는 허상을 제거했을 뿐이니까요. ‘나’에게는 실제로 일어난 일이 아니기에 하늘에 맹세코 자신은 살인을 저지르지 않았다고 주장할 수 있는 것이지요. 그렇게 ‘나’는 자신이 만든 환상 속에 영원히 머물러 있습니다.

소설 속의 ‘나’는 대면하고 싶지 않은 현실을 환상을 통해 대체합니다. 그것은 자신의 존재 이유였던 아내의 죽음을 부정하기 위해 스스로의 이성을 죽이는 애처로운 몸부림입니다. 깊은 절망의 밑바닥에서 인간이란 부조리하고, 이성은 나약합니다. 대학교수이자 철학박사인 ‘나’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소설의 마지막까지 아내와 함께 환상 속에서 살아가기를 택하는 ‘나’의 모습을 통해 저자는 독자에게 묻고 있습니다. 인간의 이성은 믿을만한가? 살인자가 된 ‘나’를 보며 혐오와 분노가 아니라 끝없는 슬픔과 연민을 느낄 수 밖에 없는 까닭은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이 긍정적이지 않기 때문이겠죠.  



















2
  • 무슨 말이 필요합니까? 하일지인데!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637 요리/음식한식판 왕자와 거지, 곰탕과 설렁탕 45 마르코폴로 16/04/18 8950 15
2499 창작[조각글 20주차] 알파고 -얼그레이님의 보이니치를 잇는 글 2 마르코폴로 16/03/30 4325 2
2299 문화/예술연극 <터미널> 6 마르코폴로 16/02/25 5656 4
1932 요리/음식창녀의 파스타, 푸타네스카 18 마르코폴로 16/01/03 17468 2
1905 정치피셔의 교환방정식 - 중국의 대 미국용 무기 4 마르코폴로 15/12/31 7558 1
1856 도서/문학유럽의 교육 - 로맹 가리 27 마르코폴로 15/12/23 7320 1
1768 도서/문학<진술> - 하일지 40 마르코폴로 15/12/14 9093 2
1696 도서/문학발자크와 바느질하는 중국소녀 12 마르코폴로 15/12/03 6764 6
1674 기타로마의 몰락, 파스타의 쇠퇴. 6 마르코폴로 15/12/01 6439 4
1628 기타연말, 연초에 선물하기 좋은 와인 24 마르코폴로 15/11/24 7422 7
1412 기타와인 속에 별을 담다 - 돔 페리뇽 31 마르코폴로 15/11/01 12528 2
1394 요리/음식생물학적 방법과 화학적 특성을 이용한 디저트와인 7 마르코폴로 15/10/30 12799 2
1316 기타케첩은 왜 토마토로 만들까? 18 마르코폴로 15/10/22 9378 4
1311 요리/음식두부이야기(중국편) 24 마르코폴로 15/10/21 12546 2
1298 기타세계화, 무역 그리고 전염병 8 마르코폴로 15/10/20 11709 8
1185 기타선조의 음식, 나폴레옹의 음식 11 마르코폴로 15/10/06 6785 0
1170 기타생선회와 삼국지 20 마르코폴로 15/10/04 8213 0
1087 기타보드카 이야기 18 마르코폴로 15/09/24 8434 4
1084 역사술잔과 작위 16 마르코폴로 15/09/23 8459 0
1069 요리/음식중국의 면과 젓가락문화 17 마르코폴로 15/09/22 10998 5
948 의료/건강태양=비만을 피하는 방법 19 마르코폴로 15/09/07 5900 0
923 정치러시아판 대륙봉쇄령의 결말 9 마르코폴로 15/09/05 5148 0
900 요리/음식 파스타 이야기 7 마르코폴로 15/09/03 6570 3
864 정치원자폭탄을 두번 경험한 남자 5 마르코폴로 15/08/29 5147 1
851 요리/음식위기를 기회로 만들다. - 모엣 샹동 의 장 레미 모엣 4 마르코폴로 15/08/26 7121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