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11/04 15:32:55
Name   ORIFixation
Subject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글러스 아담스의 SF 소설인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에는 말 그대로 안내서로 나오는 기계가 나옵니다. 어찌보면 황당하지만 상상력의 끝과 블랙유머가
섞인 이 소설에서 나오는 안내서는 전 은하에 대한 안내가 나오는 입력장치와 화면를 가진 기계로 묘사가 되지요.


<아마 이런 이미지가 아니었을까요>
작성자가 업데이트가 가능하고 업데이트된 내용은 다른 사람들도 공유할 수 있는 것으로 묘사되는 기계는 소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 소설을 읽고 학생때 방학마다 배낭여행을 다니면서 무겁고 거추장스러운 론리 플래닛은 항상 짐이었습니다. 그리고 저런 안내서 하나만 있으면 각국의 안내서를 따로 안사도 될텐데라는 생각을 하기도 했지요. 몇년이 지나고 테블릿을 처음 봤을때 드는 생각은 저 위에 나오는 안내서였습니다. 그리고 요새는 여행을 갈때 테블릿에 자료를 넣어가거나 인터넷이 되는 곳은
바로 검색을 하며 다니게 됐지요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는 1979년에 처음 나온 소설입니다. 테블릿이 세상에 나오고 대중적으로 쓰이게 된 시기와는 근 30년 정도의 차이가 납니다.
SF에 나오는 기술이 발전이 현실이 되고 그 기술을 위화감 없이 이용하게 되는데는 생각보다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는 않은 것 같군요.  필립 딕의 '물거미'에서 보여준 SF작가에 대한
예찬처럼 어쩌면 모든 SF작가는 예언자일지도요. 생각보다 미래는 더 빨리 우리의 곁에 오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P.S 하지만 이 소설에서 제가 가장 좋아하는 구절은 아래 구절이네요. 흐흐
      그리고 아직 안 읽어본 뇌 삽니다.
"This planet has — or rather had — a problem, which was this: most of the people living on it were unhappy for pretty much all of the time. Many solutions were suggested for this problem, but most of these were largely concerned with the movement of small green pieces of paper, which was odd because on the whole it wasn't the small green pieces of paper that were unhappy.(이 행성은 한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아니 가지고 있었다. 대부분의 거주자들이 항상 꽤나 많은 것에 대해 불쾌히 여겼다는 것이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 많은 해결법들이 제시되었지만, 이 문제들 중 대부분은 작은 초록색 종이 쪼가리의 움직임과 관련이 있었다. 더 이상했던 점은, 그 작은 초록색 종이 쪼가리에 대해서 사람들은 불쾌히 여기지 않앗다는 것이다.)"








0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083 음악한땐 밤하늘 바라보면서 홀로 눈물을 흘리곤 했지 3 OshiN 16/01/22 4423 0
    1817 기타PC방을 막아라 10 OshiN 15/12/19 5367 1
    1776 일상/생각바보 크리스마스 8 OshiN 15/12/15 5223 5
    1504 일상/생각마인밭 뚫던 저글링의 헛소리 9 OshiN 15/11/09 8188 9
    10052 의료/건강꽃보다 의사, 존스홉킨스의 F4(Founding Four Physicians) 11 OSDRYD 19/12/06 5396 20
    9865 의료/건강최고령 의사 히노하라 시게아키(日野原重明, 1911-2017) 5 OSDRYD 19/10/20 4951 7
    9533 일상/생각비지니스와 아카데미, 일본의 두 기술자 그리고 교수 5 OSDRYD 19/08/10 5410 14
    9432 일상/생각극단주의 7 OSDRYD 19/07/12 4662 4
    9572 일상/생각해방후 보건의료 논쟁: 이용설 vs 최응석 5 OSDRYD 19/08/23 5770 11
    9400 일상/생각트위터에서 언급된 한일관계에 대한 논문 8 OSDRYD 19/07/05 5178 1
    7970 방송/연예레전드가 되는 길: 이경규 vs 최양락 12 OSDRYD 18/07/30 6435 5
    6173 오프모임할일없는 토요일 저녁 급번개입니다 32 ORIFixation 17/08/26 5688 0
    4527 과학/기술공감 파우더, 미신적인 논쟁과 원격치료 2 ORIFixation 17/01/03 4783 4
    3136 일상/생각어느날의 질문 52 ORIFixation 16/06/27 4001 0
    2838 의료/건강신해철법 통과 73 ORIFixation 16/05/19 5697 1
    2542 일상/생각어느날의 술자리 12 ORIFixation 16/04/05 4238 2
    2486 일상/생각장미라는 이름 12 ORIFixation 16/03/28 4448 5
    2410 의료/건강정형외과의 역사 -2- 26 ORIFixation 16/03/16 8420 0
    2384 의료/건강정형외과의 역사 26 ORIFixation 16/03/11 7488 0
    1883 일상/생각그날 나는 무엇을 들은걸까 6 ORIFixation 15/12/29 4543 0
    1459 기타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15 ORIFixation 15/11/04 10823 0
    1351 일상/생각일상, 그냥 술먹으며하는 잡담들 27 ORIFixation 15/10/26 8979 0
    462 기타통증에 대한 잡설 39 ORIFixation 15/06/28 10912 0
    330 기타수학과 물리가 싫었던 아이 20 ORIFixation 15/06/14 8263 0
    4490 기타수학 잘함 = 공간 감각 좋음? 10 OPTIK 16/12/31 3666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