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11/01 14:08:00
Name   마르코폴로
Subject   와인 속에 별을 담다 - 돔 페리뇽
아래 선비님의 조각글을 읽고 난 후, 마인드 맵처럼 별에 관련된 와인 얘기가 생각이 나서 소개해봅니다.



17세기 후반 프랑스의 베네딕토회 수도원의 피에르 페리뇽(1638-1715)은 샹파뉴 지방의 유명한 발포와인인 ‘상파뉴(샴페인)’을 만들어냅니다.(돔 페리뇽의 돔은 베네딕트 수도사에게 붙이던 존칭입니다.) 1680년경 오빌레 수도원의 출납계 겸 술 창고계원이었던 피에르 페리뇽은 어느 날 와인 창고를 순회하던 중 포도주 한 병이 ‘펑’ 하고 터지는 장면을 목격합니다. 때는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시점. 겨우내 매서운 추위 탓에 발효를 멈춘 와인이 날이 풀리면서 스스로 2차 발효를 시작했고, 병 속 온도가 높아지면서 탄산가스의 압력과 맞물려 결국 유리병이 깨져버린 것이었습니다. 깨진 와인에서 흘러나온 와인을 먹어보니 그야말로 절묘한 맛이었습니다. 그는 감격한 나머지 ‘마치 하늘의 별을 마시는 것 같다’고 중얼거렸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후에 ‘삼페인’이라고 불리게 되는 명주가 이렇게 등장한 것이지요.

아이러니 하게도 피에르 페리뇽은 애초에 와인에서 거품을 일으키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거품을 없애려 했습니다. 예전에는 와인을 만들면 발효가 덜 끝나서 와인 병 속에 남아 있던 당류를 재료로 미생물이 자라 병 속에서 2차 발효가 일어나는 경우가 자주 있었습니다. 상파뉴 지방에서는 와인을 가을에 담기 때문에 겨울 동안에는 발효가 멈추고, 조건이 맞으면 봄에 와인이 다시 발효를 개시하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리고 이로인해 발생한 이산화탄소가 기포 상태로 와인 병 안에 쌓이게 되어 맛이 이상해지고 병이 폭발해 버리는 일들이 벌어졌습니다. 피에르 페리뇽은 이같은 일을 막기 위해 2차 발효를 막고 병 안에 이산화탄소 거품이 쌓이지 않게끔 하는 방법을 찾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깨진 와인 병에서 기포가 든 뛰어난 맛을 지닌 와인을 접하게 되고, 그에 영감을 얻어서 발포와인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게 됩니다.

피에르 페리뇽은 그 후에도 병이 깨지는 위험을 무릅쓰고 발포 와인을 계속 만들다가 생을 마쳤습니다. 무사히 병이 깨지지 않고, 완료된 것이 60% 정도였기 때문에, 항상 손실과 부상의 위험이 따랐던 술 제조 방식이었습니다. 그는 이후 일생을 풍미가 다른 포도를 조합해 샴페인의 질과 맛을 향상하는 일에 노력했으며, ‘와인에 처음으로 거품을 넣은 마술사’라는 찬사를 가슴에 안고 세상을 떠났습니다.




2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637 요리/음식한식판 왕자와 거지, 곰탕과 설렁탕 45 마르코폴로 16/04/18 8950 15
    2499 창작[조각글 20주차] 알파고 -얼그레이님의 보이니치를 잇는 글 2 마르코폴로 16/03/30 4324 2
    2299 문화/예술연극 <터미널> 6 마르코폴로 16/02/25 5656 4
    1932 요리/음식창녀의 파스타, 푸타네스카 18 마르코폴로 16/01/03 17467 2
    1905 정치피셔의 교환방정식 - 중국의 대 미국용 무기 4 마르코폴로 15/12/31 7558 1
    1856 도서/문학유럽의 교육 - 로맹 가리 27 마르코폴로 15/12/23 7319 1
    1768 도서/문학<진술> - 하일지 40 마르코폴로 15/12/14 9093 2
    1696 도서/문학발자크와 바느질하는 중국소녀 12 마르코폴로 15/12/03 6764 6
    1674 기타로마의 몰락, 파스타의 쇠퇴. 6 마르코폴로 15/12/01 6439 4
    1628 기타연말, 연초에 선물하기 좋은 와인 24 마르코폴로 15/11/24 7422 7
    1412 기타와인 속에 별을 담다 - 돔 페리뇽 31 마르코폴로 15/11/01 12527 2
    1394 요리/음식생물학적 방법과 화학적 특성을 이용한 디저트와인 7 마르코폴로 15/10/30 12798 2
    1316 기타케첩은 왜 토마토로 만들까? 18 마르코폴로 15/10/22 9377 4
    1311 요리/음식두부이야기(중국편) 24 마르코폴로 15/10/21 12546 2
    1298 기타세계화, 무역 그리고 전염병 8 마르코폴로 15/10/20 11709 8
    1185 기타선조의 음식, 나폴레옹의 음식 11 마르코폴로 15/10/06 6785 0
    1170 기타생선회와 삼국지 20 마르코폴로 15/10/04 8213 0
    1087 기타보드카 이야기 18 마르코폴로 15/09/24 8433 4
    1084 역사술잔과 작위 16 마르코폴로 15/09/23 8458 0
    1069 요리/음식중국의 면과 젓가락문화 17 마르코폴로 15/09/22 10997 5
    948 의료/건강태양=비만을 피하는 방법 19 마르코폴로 15/09/07 5899 0
    923 정치러시아판 대륙봉쇄령의 결말 9 마르코폴로 15/09/05 5147 0
    900 요리/음식 파스타 이야기 7 마르코폴로 15/09/03 6570 3
    864 정치원자폭탄을 두번 경험한 남자 5 마르코폴로 15/08/29 5147 1
    851 요리/음식위기를 기회로 만들다. - 모엣 샹동 의 장 레미 모엣 4 마르코폴로 15/08/26 7120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