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3/01/06 00:47:36수정됨
Name   당근매니아
Subject   윤석열, 출산율, 나경원, 부동산 그리고 근로시간
요새 뜨는 뉴스들을 보고 있자니 드는 생각이 있어 끼적여 봅니다.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28814

통계자료들을 확인해보면 한국에 생각보다 딩크족은 많지 않아 보입니다.
2020년 기준 49세 미만 기혼여성 중 자녀가 없는 인원은 14% 수준입니다.
2015년에는 동일한 특성의 집단이 11%대를 기록했던 것을 비교하면 물론 증가하긴 했습니다.

다만 같은 기간 동안 기혼여성 자체가 12% 이상 감소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출산율 감소는 딩크족보다는 아예 결혼을 하지 않은 인구의 영향이 더 커보입니다.

그리고 결혼과 출산에는 당연히 자원이 필요합니다.
결혼 단계에서는 돈-부동산이 필요하고, 출산에는 막대한 시간과 체력이 추가로 소모되겠죠.
과거에는 대가족 체제하에서 전업주부인 여성이 아이들을 케어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맞벌이 부부가 친정 부모의 눈치를 봐가며 도움을 받아야 하는 상황입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31461#home

나경원이 아이를 낳았을 때 대출 원금을 탕감해주겠다는 내용의 제안을 한 건,
결혼과 출산에 필요한 자원 중 금전적 부담을 줄여주겠다는 의도일 겁니다.

결혼 시점에서 부동산을 구매하느라 진 빚을 출산 시 탕감해주겠다는 건데
결혼 과정에서 소요된 자원 중 일부를 출산 조건으로 정부가 보전해주겠다는 거죠.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4950842

저걸 보고 문득 이 기사가 생각났습니다.
미분양 주택을 정부 또는 공공기관이 매입한 뒤, 취약계층에게 임대하라는 대통령실의 주문입니다.

시장에 몇가지 메시지를 던져주는 기사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전 정부 때 시장개입한다고 비난한 건 방향성이 마음에 안 들어서였을 뿐이다."
"건설사의 투자 실패를 세금으로 메꿔서라도 이윤을 챙겨줄 생각이다."
"이 정부는 분양가 이하로 집값이 떨어지게 둘 생각이 [절대] 없다."

저출산이 문제라고 이야기 하고 있긴 하지만, 결혼의 가장 큰 장벽인 부동산 가격을 낮출 생각은 전혀 없어보입니다.
시장가는 그대로 유지시켜두고 싶으니, 정부가 출산한 부분의 빚을 탕감시켜주는 우회책이 나오는 거겠죠.

그 과정에서 세금 또는 공공기관의 예산을 유용하여 시장가격을 떠받치게 한다는 건데,
문케어가 세금 낭비라며 열을 올리시는 분들이 주창하는 게 꽤나 우습습니다.


https://www.hani.co.kr/arti/society/labor/1073816.html

앞서 말한 것처럼 출산에 필요한 중요한 자원은 아이에게 쏟을 수 있는 시간일 겁니다.

이번 정부는 지속적으로 근로시간을 늘리거나, 악화시키는 방향을 밀어부치고 있습니다.
민정당은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확대 적용하는 안을 계속 가져오고 있는데,
매주 또는 매달 근로시간이 들쑥날쑥하게 적용된다는 건 생활의 예측가능성이 떨어진다는 이야기입니다.
안정적으로 아이를 케어하고 일정한 시간을 붙어있을 시간 자원이 부족해지는 거죠.

나아가 노동조합의 회계감사를 의무화하는 등의 조치를 통해서 노동조합 활동 위축을 시도하고 있기도 합니다.

이 경우 충분한 사이즈를 갖추고 조합비를 확보할 수 있는 대규모 사업장의 노동조합은 타격이 그나마 덜하지만,
소수 조합원을 데리고 적은 자원으로 꾸려나가고 있는 소규모 사업장의 노동조합은 직격탄을 맞게 됩니다.
물론 후자의 경우가 근로환경이 상대적으로 열악할 가능성이 높죠.


https://n.news.naver.com/article/656/0000039403?cds=news_edit

저출산이 뭐 하루이틀 된 문제도 아니고, 정부의 역할 뿐만 아니라 문화적 변화 역시 필요하다고 봅니다.
반면에 부모 노릇을 제대로 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사람들이 아이를 낳고 기르던,
구 세대의 인생관 때문에 자녀들의 인생이 조져진 상황들이 반복되는 건 또 막아야 할 겁니다.

정부는 그 사이에서 효율적으로 자원을 분배하고 투자할 역할을 맡아야 할 테구요.

다만 이번 정부가 지금까지 보여주고 있는 모습을 제가 엮어서 해석하자면,
출산율보다는 부동산 시세 유지가 중요하고, 기업 운영하기 편한 환경 만들기가 더 중요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것들과 관계 없는 양곡매입과 시세 유지에는 전혀 관심이 없는 모습을 보니 더욱 더 그런 확신이 들어요.



9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663 꿀팁/강좌농업용 관리기 개론 7 천하대장군 23/03/23 2593 9
    13595 사회한국 인구부양비 악화의 진짜 원인 (부제: 출산율 2.1 찍어도 인구부양비 악화는 피할 수 없다) 27 카르스 23/02/24 3524 9
    13558 오프모임이번주 일요일(12일 11시반) 한우에 낮술 한잔 하시죵(☆한우로 변경) 21 소주왕승키 23/02/10 2566 9
    13546 사회통계로 본 비수도권 청년 인구유출 추이 7 카르스 23/02/06 3135 9
    13478 일상/생각위로좀 해주세요~아들입시 관련... 10 soulless 23/01/13 3220 9
    13462 댓글잠금 정치윤석열, 출산율, 나경원, 부동산 그리고 근로시간 37 당근매니아 23/01/06 3756 9
    13297 방송/연예2022 걸그룹 5/6 17 헬리제의우울 22/11/05 3579 9
    13264 기타위즈덤 칼리지 5강 Review 모임 발제: 행복한 마음으로 살기 위해 7 Mariage Frères 22/10/24 2487 9
    12984 정치이준석과 10년차 과장.. 14 Picard 22/07/09 4761 9
    12935 음악유자왕 피아노 연주회 리뷰 (2022.06.19, 예술의전당) 9 카르스 22/06/19 3158 9
    12821 음악여기 사람 있어요 5 바나나코우 22/05/15 3038 9
    12812 경제최근 한전 적자에 대한 해설 28 Folcwine 22/05/13 4151 9
    12796 영화[스포일러] 닥터 스트레인지 : 대혼돈의 멀티버스 감상 3 化神 22/05/09 3165 9
    12680 정치연방 대법관 청문회 - 관타나모와 전범 5 코리몬테아스 22/03/29 3216 9
    12601 정치시원하네요 허허... 55 매뉴물있뉴 22/03/10 5397 9
    12600 정치누가 이기든 반성하는 쪽을 주의깊게 바라보려 합니다. 27 파로돈탁스 22/03/09 4385 9
    12558 정치민주당은 불타고 있는가 8 meson 22/02/28 3716 9
    12530 댓글잠금 정치인간 이준석에게 매우 화가 나네요. 38 구글 고랭이 22/02/20 5632 9
    12446 기타[나눔] 메가박스 VIP 1년권 (추첨 완료) 15 알겠슘돠 22/01/16 3806 9
    12380 정치20대 대통령 선거 정책 공약 살펴보기 (각 후보자 1호 공약 + 선거관리위원회 공약 이슈트리) 21 소요 21/12/24 4299 9
    12304 오프모임11월 28일 일요일 13시 방이동 먹자골목에서 오프모임 25 소주왕승키 21/11/26 4329 9
    12162 게임[디2 레저렉션] 스타터 캐릭에 대한 고찰 - 해머딘 18 윤지호 21/10/12 5966 9
    12143 정치KDI에서 본 한국 여론양극화 문제 (부제: 여성시대 주작사태) 8 샨르우르파 21/10/06 3849 9
    12079 기타남자 곰타입의 옷배색에 관한 연구 35 흑마법사 21/09/15 3916 9
    12057 일상/생각환타 5 私律 21/09/09 3971 9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