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2/12/17 17:24:37수정됨
Name   meson
Subject   성 상품화에 대한 뻘글_일반적인 입장
※얼마 전에 이 글(https://new.redtea.kr/free/13257)을 읽은 것이 계기가 되어 쓴 글입니다.

제가 성상품화에 대해 생각해 본 바를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만일 성 상품화에 여성이 더 적극적으로 반발하는 경향성이 있다면, 그 이유의 기저에는 여성이 임신·출산을 한다는 점이 작용하고 있을 것입니다. 그런 과정 중에 있는 이상에는 여성이 [ 부양 받는 ] 존재가 되기 쉽고, 남성은 부양하는 존재가 되기 쉽습니다. 그리고 한 번 그런 역할배분을 하고 나면 경로의존성이 생기기 때문에, 임신·출산 과정에 있지 않은 상황에도 동일한 역할배분을 고수하기 쉽습니다.
이 구도에 따라, 여성에 대한 가치평가는 [ 부양을 받을 유인 ]과 연결되고, 남성에 대한 가치평가는 [ 부양을 제공할 능력 ]과 연관되어 온 역사가 있습니다.
그리고 역사만 있는 게 아니라, 현재도 기성세대의 인식에는 이러한 바탕이 없다고 할 수 없으며, Z세대라고 할지라도 최소한 문화적으로는 일정한 영향을 받고 있다고 봅니다.

이것을 고려하고 보면, 어째서 성상품화 논란이 비대칭적으로 일어나는지, 혹은 일어났는지에 대해 짐작가는 바가 있게 됩니다.
즉, 성상품화의 초점이 사회경제적 능력이 아닌 성적 매력이기 때문에, 남성의 성이 상품화되는 것과 여성의 성이 상품화되는 것은, 시쳇말로 [ 타격감 ]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성상품화로 인해 본인이 (자신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상품’으로 인식될 수 있다는 공포와 성적 매력에 대한 이상적인 기준을 강요받을 수 있다는 공포가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더 강하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민감도가 다른 것에는 이러한 까닭이 있을 것입니다.
남녀 성상품화를 동일한 기준으로 평가하자는 주장은 이를 간과하는 면이 있습니다.

그러면 이 같은 해악이 있으므로 성 상품화를 일소해야 하는지를 생각해 보면, 크게 두 가지의 난점이 있다고 할 것입니다.

첫째는 자율성 침해일 수 있다는 점입니다.
성 상품화가 자발적으로 이루어지고 또 자발적으로 소비된다면, 당사자가 아닌 사람이 이를 ‘계몽’시키려고 시도하는 것은 교조적이라는 지적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어디까지가 용인 가능하고 무엇이 과도한 것인지에 대한 기준이 사람마다 다른 이상에는 더더욱 그렇습니다.

둘째는 이중 잣대일 수 있다는 점입니다.
실제로 현대 사회에서는 폭력도 상품화되고, 노동력도 상품화되고, 지식도 상품화되고, 하여간 인간의 일부라고 해도 상품화되지 않는 것을 거의 찾아볼 수 없는데, 유독 ‘성’만 특별하게 대우할 이유는 무엇이냐는 것입니다. 이것은 상품화가 불가피하다는 말도 되고, 성의 인격적 본질성을 논증할 필요가 있다는 말도 됩니다. 해악의 측면에서 보아도, 사회경제적 지위의 상품화로 인해 상대적 박탈감이나 연애시장에의 소외를 겪는 사람이 존재하고요.

그렇기에, 성 상품화에 일정한 폐해가 있다는 것에는 동의하면서도, 성 상품화에 반대하거나 나아가 제재를 주장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난점들에 대해 복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고도 생각하는 편입니다.

...써놓고 보니 별로 새로울 것도 없는 소리를 길게도 늘어놓았네요.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6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727 의료/건강제목은 못 정하겠음 32 mmOmm 17/12/07 5151 19
    1976 일상/생각342,000번의 묵묵함 8 mmOmm 16/01/08 4354 0
    14770 일상/생각개인적인 관리비 꿀팁? 3 mighty 24/07/03 1625 0
    14870 의료/건강우울증을 치료하는 중 19 mighty 24/08/26 1630 10
    8524 스포츠키쿠치 유세이는 과연 메이저리그에서 통할수 있을까? 4 MG베이스볼 18/11/15 4039 2
    10701 게임라오어2 얘기 해보죠(하드 스포) 37 Messi 20/06/20 6210 12
    9213 게임4강 Bo5에서의 SKT 드래프트.txt 12 Messi 19/05/19 4414 4
    8693 게임SKT vs 담원 '바론 한타' 뜯어보기.txt 6 Messi 18/12/28 3651 0
    7483 오프모임내일 인천 점심 한끼 하실분 구합니다. 5 Messi 18/05/04 4544 3
    15067 도서/문학『눈물을 마시는 새』 - 변화를 맞이하는 고결한 방법 1 meson 24/11/24 595 6
    14976 도서/문학『채식주의자』 - 물결에 올라타서 8 meson 24/10/12 908 16
    14904 정치지금이 한국 정치사의 분기점일지도 모른다 5 meson 24/09/07 1161 8
    14794 도서/문학[눈마새] 나가 사회가 위기를 억제해 온 방법 8 meson 24/07/14 1498 11
    14542 역사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9. 나가며 2 meson 24/03/17 1249 3
    14541 역사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8. 태산봉선(泰山封禪) meson 24/03/16 1182 1
    14538 역사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7. 선택과 집중 1 meson 24/03/15 1247 3
    14533 역사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6. 고구려의 ‘이일대로’ meson 24/03/14 1126 3
    14528 역사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5. 예고된 변곡점 2 meson 24/03/13 1187 3
    14524 역사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3. 몽골리아의 각축 5 meson 24/03/11 1271 3
    14521 역사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2. 당나라의 '수군혁명' 4 meson 24/03/11 1360 5
    14520 역사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1. 들어가며 2 meson 24/03/11 1285 3
    14527 역사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4. 침공군의 진격 1 meson 24/03/12 1202 2
    14482 일상/생각지식이 임계를 넘으면, 그것을 알리지 않는다 22 meson 24/02/22 2587 6
    14204 의료/건강의대 증원 논쟁에 대한 잡상 42 meson 23/10/16 3166 2
    13405 일상/생각성 상품화에 대한 뻘글_일반적인 입장 7 meson 22/12/17 2951 6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