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1/01/04 00:31:04수정됨
Name   Leeka
File #1   스크린샷_2021_01_04_오전_12.24.51.png (85.6 KB), Download : 22
File #2   스크린샷_2021_01_04_오전_12.26.52.png (215.3 KB), Download : 19
Subject   서울 아파트값, 다주택자가 적어질수록 더 많이 올랐다.




http://www.khi.re.kr/notice/notice3.php?boardid=pds&mode=view&idx=147&sk=&sw=&offset=

주택산업연구원에서 직접 발표한 연구 보고서 내용입니다.

상세 내용은 위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만

그러나 서울의 경우는 수급(-0.58), 경제성장율(0.28), 주담대증가율(0.13), 금리변화(-0.01) 로 수급요인의 영향이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다주택비율의 영향요인은 (-0.71)로 역상관성이 매우 크게 나타나 다주택비율이 낮아질수록 아파트값 상승폭은 매우 커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다주택보유 억제가 집값 안정에 절대적이라는 투기억제론자들의 주장과는 전혀 반대의 결과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동구권 사회주의 국가들이 구소련방시대에 1가구 1주택소유정책을 유지하다가 독립후 차츰 시장경제로 개방되면서 도시화와 경제성장기에 주택시장에 유통가능물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매매가와 임차료가 급상승했던 현상에 대한 설명력을 가지며, 계약자유와 잦은 경기변동으로 불안정적인 주택수급 특성을 갖는 시장경제체제에서 1가구 1주택 정책은 매우 위험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물론 지방의 경우에는 다주택자가 적어지면 집값이 내려가긴 했습니다만

'서울 아파트'를 기준으로 할 경우에는.

주택산업연구원 자료에서는

'다주택자가 1순위 - 수급이 2순위 - 경재성장률이 3순위' 로 조사되었습니다.



다주택이 줄어들수록 '전세/월세'가 오르면서 '매매'가를 밀어올리는 현상 + 매매수요의 증가 (이돈주고 임차하느니 사고 만다)
&
1주택자의 경우에는 '정말 호가 그냥 올려놓고. 안팔리면 걍 살지 뭐'  해버리면서..  

다주택자는 이자, 세금, 다른곳에 대한 투자. 등등으로 인해 '오히려 장기 보유를 안하고 순환'을 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만
1주택자는 '원하는 가격이 아니면 그냥 안팔고 존버' 해버리기 때문에... 시장에 공급이라는 측면에선...



물론 서울 기준이고
지방의 경우엔 '다주택자들이 작업하면서 가격을 뻥뻥' 올리는게 포인트다보니.  다주택자가 늘어날 때 집값이 오르는게 맞다고 지표로 나오고 있습니다.


물론 이 해석이 '결과론적인 해석이다' 라고 볼 수도 있고..  다양한 시선이 있을 수 있습니다만.
암울해지는건 '다주택자가 계속 줄었다는거죠'..

다주택자가 집을 팔면 서울에 들어갈 수 있지만
1주택자는 이 사람이 지방으로 내려가지 않는한. 결국 서울 1집이 서울 1집으로 바뀌는거라. 신규 공급은 없는거라서..
다주택자가 엄청나게 줄었다는건.  공급이 줄고 있다는 다른 신호기도 하니까요..




참고로 주택산업연구원의 경우 '국토교통부,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와 함께하는 기관입니다.



2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495 경제똘똘한 한채를 만든 현재 보유세 정책 35 Leeka 21/03/15 4769 2
    11476 게임[LOL] LPL, 현 시점에서의 웨이보 인기투표 라인별 1~3위 Leeka 21/03/09 4167 2
    11475 IT/컴퓨터웹 브라우저의 가치는 얼마나 될까? 12 Leeka 21/03/09 4238 1
    11586 사회백화점에서, VIP 산정 기준이 따로 적용되는 명품 브랜드들은? 2 Leeka 21/04/16 3721 1
    11443 사회자가 / 전세 / 월세 / 무상으로 거주하는 사람은 몇%일까? 2 Leeka 21/02/22 4287 0
    11563 정치이전 서울시장 선거와 이번 서울시장 선거 비교 47 Leeka 21/04/08 5183 1
    11428 사회씨맥의 100만원 처벌은 어느정도일때 성립되는가? 6 Leeka 21/02/18 5474 1
    11427 게임LCK 2군 로스터 변경사항 정리 3 Leeka 21/02/18 3772 1
    11418 IT/컴퓨터애플워치, 실제 사용자 1억명 돌파 + 애플 4분기 실적 6 Leeka 21/02/15 3708 0
    11407 경제HUG, 22일부터 분양가를 주변시세의 85~90%로 변경 확정 7 Leeka 21/02/09 3734 0
    11382 경제2020년 전국 백화점 매출 순위 9 Leeka 21/01/28 6924 2
    11378 게임반지원정대 젠지를 학살하는 쵸비 히스토리 1 Leeka 21/01/25 4522 3
    11376 경제경기도 주요지역 국민평수 대장아파트 실거래가들 24 Leeka 21/01/25 4680 1
    11364 경제2019년 기준, 연령대 별 연봉 정리 2 Leeka 21/01/23 4276 1
    11351 사회12년간 공사한 동부간선도로 개통 결과 24 Leeka 21/01/18 5197 1
    11340 IT/컴퓨터에어팟 맥스 1일차 후기 3 Leeka 21/01/14 3041 2
    11319 경제서울 아파트값, 다주택자가 적어질수록 더 많이 올랐다. 9 Leeka 21/01/04 3905 2
    11316 정치공실률 0%로 집계되는 부동산 통계의 문제점 7 Leeka 21/01/03 4223 3
    11295 경제서울시 6억이하 아파트, 6개월 사이 30%가 사라졌다. 6 Leeka 20/12/30 4360 5
    11277 경제보금자리론 기본 금리가 1월에 추가 인상됩니다. 6 Leeka 20/12/26 4004 1
    11274 경제주간 아파트 매매가, 전세가 상승률 역대 1위와 동률 기록 5 Leeka 20/12/24 2776 1
    11268 정치변창흠 국토부장관 청문회 - 오늘의 해명들. 13 Leeka 20/12/23 3237 1
    11267 정치토비님과 홍차넷 운영진을 하게 된 이유 중 하나.. 13 Leeka 20/12/23 4763 28
    11227 정치이번 정부의 정책들은, 집값을 어떻게 위로 올렸나? 7 Leeka 20/12/14 4082 15
    11218 경제부린이 2탄 - 주택 매매시 알아두면 좋은 내용들 4 Leeka 20/12/13 4329 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